부천/’공공기관 전기료 절감 외면’

일선 지자체의 공공청사 건물들이 한국전력이 권장하는 ‘심야전력’을 도입하면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는데도 이를 외면, 6억원 정도의 예산이 낭비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천시의회 남상용 의원(송내1동)은 7일 열린 제100회 임시회의 시정질문을 통해 “15년 전부터 한전이 보조금까지 지원해주면서 심야전력 사용에 대해 적극 홍보했는데도 부천시의 경우 이를 활용하지 않아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남 의원은 이에 대한 근거로 부천시민회관과 원미·소사·오정구 등 3개 구 산하 동사무소의 동절기(12월∼3월) 전력요금 납부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동안 전기료가 2천234만원이 나온 부천시민회관은 심야전력으로 대체할 경우, 1천487만9천원으로 746만1천원이 절감되고 지역난방공급 의무지역인 2개 동을 제외한 원미구 산하 16개 동사무소의 6천262만원에 이르는 전기료도 심야전력으로 대체하면 3천676만원으로 2천586만원이 절감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지난 4월 준공된 송내1동을 제외한 소사구 산하 9개 동사무소의 4개월분 전기료 4천532만원도 심야전력으로 대체하면 2천826만8천원으로 1천705만2천원, 오정구 산하 7개 동사무소의 같은 기간 전기료 1천721만2천원도 심야전력 대체시 832만8천원으로 888만4천원이 각각 절감될 것으로 집계됐다.

남 의원은 “3개 구가 동절기 동안 심야전력으로 대체하면 전기료 절감액은 5천179만6천원”이라며 “한전이 15년 전부터 보조금까지 지원해주면서 이 제도를 홍보해온 점을 감안하고 전기요금 인상분을 고려하더라도 지난 10년간 심야전력으로 대체하지 않아 6억원 정도의 예산이 낭비됐다”고 지적했다.

한전 부천지점 관계자는 “심야전력으로 대체할 경우, 초기 투자비가 들지만 공공청사의 경우 전기료 절감 등 장기적으로 볼 때 유지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기대돼 심야전력제도에 대해 그동안 시 관련 부서에 이 제도를 통보했었다”고 말했다.

/부천=강영백기자 kyb@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