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패트롤/포천군 국립수목원

산림청 산하 국립수목원내 관찰로 포장사업문제를 놓고 찬반논란을 빚고 있다.

포천군 시민단체와 소흘읍 주민들은 국립수목원내 관찰로(자연 흙길)에 보도블록을 설치하면 자연이 훼손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반대하고 나섰고 수목원측은 비가 내리면 진흙탕으로 변해 관람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어 불가피하다며 팽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포천군 시민단체와 주민, 국립수목원 등에 따르면 수목원측은 오는 2004년까지 사업비 9억여원을 들여 개방구역내 관찰로(길이 12㎞)를 포장하는 내용의 관찰로 정비사업계획을 올해 초 수립했다.

수목원측은 이에 따라 지난 8월 1단계 사업으로 3억원을 들여 원내 수목원 정문∼산림박물관 광장∼후문을 연결하는 관찰로 1㎞ 구간에 보도블록을 설치, 현재 마무리작업을 진행중으로, 내년에는 관상수원 인근 광장구간(1㎞), 오는 2004년에는 후문∼수생식물원∼화목원∼관목원 구간과 육림호∼침엽수원∼숲생태관찰로 구간(길이 10㎞) 등도 포장할 계획이다.

수목원측은 1차 사업구간은 보도블록을 설치하기로 했지만 2∼3차 사업 구간에 대해선 육상 경기장 트랙 등에 사용되는 투스콘 또는 보도블록 설치 등을 검토하고 있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비공개구역인 야생동물원 관찰코스를 제외한 수목원내 모든 구간의 관찰로가 포장돼 관람객들은 더 이상 수목원내 흙을 밟아 볼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와 주민들은 수목원내 관찰로가 포장되면 자연훼손은 물론 나무와 흙냄새 등이 가득한 수목원이 회색빛깔의 도심으로 전락될 우려가 높다며 사업 자체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광릉숲을 사랑하는 시민의 모임’관계자는 “자연미 가득한 수목원 관찰로에 보도블럭이 깔리면 자연도 훼손되고 수목원이 회색 빛깔 가득한 삭막한 곳으로 변모된다”며 “서울 도심과 다를 바 없게 된 수목원을 찾는 이가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수목원측은 “흙길로 조성된 수목원 관찰로가 비가 내리면 진흙탕으로 변해 관람객들의 민원이 계속됐다”며 “이번 사업은 일부 관찰로 폭을 줄여 다양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공간확보에도 목적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포천=이재학기자 jh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