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인구가 지난 8월로 50만명을 넘어서면서 기구 설치 및 직급기준 신설이 불가피하게 되자 구청 및 신설 부서의 필요성을 놓고 사업부서와 행정부서간 의견이 상충되는 등 팽팽한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21일 시와 각 부서 등에 따르면 구청이 없는 용인시는 지난 8월26일자로 인구가 50만명을 넘어 현재 5국 22과의 기구와 직급을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의거, 부족분 1국3과의 기구 및 직급기준 신설을 조속히 결정, 행정자치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현행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은 구청이 없는 지방차치단체의 인구가 50만명이 넘을 경우 6개 국 25개 과를 설치, 운영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다음달부터 자체 조직 및 업무 분석에 들어가 연말까지 구체적인 기구와 직급을 결정, 내년 2월께 도에 상정한 뒤 행자부로부터 7∼8월께 승인을 받을 방침이다.
사정이 이렇자 사업부서와 행저부서간 필요부서를 놓고 의견이 팽팽히 맞서는 등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사업부서측은 도시개발로 인·허가 및 보상, 도로 개설, 하천 관리, 폐기물 관리, 민원 등이 연일 폭주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시 기구에 없는 도로과 및 하수과, 청소과, 주택과 등의 신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행정부서측은 인구 증가로 세수가 늘고 있는데다 업무가 증폭되고 있어 세정과를 세정1과와 2과 등으로 분리해야 하고 사회복지여성담당관실을 사회복지과와 여성·청소년과 등으로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시 고위 관계자는 “부서간 의견이 많이 상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용인시 현실에 맞게 기구와 정원을 결정할 방침”이라며 “도시개발로 인한 사업부서측의 업무과다 및 민원 등을 고려할 때 사업부서 신설이 우선되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용인=강한수·허찬회기자 hurch@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