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지역 난개발, 고양과 파주 등지의 신시가지 조성이나 북한의 개성공업단지 조성계획 등이 언론보도를 통해 이미 알려진바 있다.
그러나 수도권의 작은 자치단체인 연천군 주민들은 이런 보도를 접할 때마다 ‘강건너 불구경’이 아니라 멀리 ‘유럽쪽의 살기좋은 나라’의 일로 생각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면적의 1.4배라는 광활한 땅과 임진강, 한탄강 등의 풍부한 수자원은 물론이고 통일 후에도 강원도와 함경남북도를 연결하는 중요한 거점도시인데도 이처럼 국책사업이나 정책사업 등에서 제외되고 있는 까닭은 잘 이해되지 않는다. 역대 정권은 모두 국토의 균형개발을 국정지표로 내걸었고 또 접경지역지원법을 만들어 올해부터 시행키로 했으나 용두사미격으로 지금까지 계획조차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에서 인구가 줄고 있는 지역은 유일하게 연천군 밖에 없다는 것이 통계자료로 나타나고 있다. 넓이 695㎢에 5만여명이 살고 있으니 도시민들은 쾌적한 환경의 전원지역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저녁시간에 교통사고라도 발생하면 목격자가 없어 사고 조사에 어려움을 겪는 곳이 연천읍에서 흔하게 일어나고 있는 웃지못할 현상이다. 상가라도 신축되면 임대자가 없어 텅텅 비어 있고, 해마다 1천여명씩 줄어가는 인구에 연천과 전곡간 10㎞도 되지 않는 국도변에 10여개의 사격장이 즐비한 게 오늘의 연천군 현실이다.
사정은 이런데도 정부는 이 지역에 수도권정비법이나 공장총량제, 공업배치법 등을 적용해 지역경제는 물론 자생력도 잃어가고 있다. 한국전쟁 이후 국가안보를 위해 이곳 주민들은 불편하지만 탱크의 굉음과 포성 등을 들어가며 50년 가깝게 살아왔다. 50년 동안 불편을 감내하며 살아온 주민들에게 보답을 위해서라도 멀리도 좋지만 가까운 곳부터 개발하는 정책 수립이 아쉬운 현실이다.
/연천=장기현기자 khja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