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말 개서 예정인 구리경찰서 관할구역문제를 놓고 주민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경기지방경찰청은 남양주경찰서의 치안수요 급증에 따라 내년 말 완공을 목표로 구리시 교문동 산 118 일대에 연면적 2천600여평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의 구리경찰서 청사를 신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남양주경찰서가 담당하던 구리시 수택동을 비롯 8개 동 모든 지역과 남양주시 진접읍, 별내면, 퇴계원면 등 구리·남양주지역 11개 읍·면·동의 치안업무가 구리경찰서로 이관될 예정이다.
그러나 남양주시 진접읍 등 3개 읍·면 지역 일부 주민과 시의원들은 “지역정서에 맞지 않는다”며 구리경찰서 편입에 반발하고 있다.
특히 시의원들은 “남양주시는 매년 인구가 급증해 경찰서가 증설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럴 경우 또 다시 치안관할구역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 시의원을 비롯 도의원, 새마을지도자, 이장협의회 관계자 등은 대책회의를 열고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는 진정서를 작성, 경찰청과 행정자치부 등 관련 기관에 제출키로 했다.
한편 경찰청은 당초 구리경찰서 개서와 관련, 행정구역상 구리시와 남양주시 등을 분리하는 경우와 치안수요여건에 맞춰 분리하는 경우 등 2가지 안을 행자부에 건의했었다.
남양주경찰서 관계자는 “관내 16개 파출소 가운데 구리시에 5곳, 남양주시에 11곳 등이 분산됐다”며 “구리경찰서가 개서되면 주민들의 편의 등 효율적인 치안업무를 위해 관할구역을 재조정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경찰청 관계자는 “아직까지 구리경찰서 관할 범위가 확정된 건 아니고 내년 6월께나 결정될 예정”이라며 “구리시와 남양주시 등을 분리할 경우 치안수요 불균형이 발생할 것을 우려, 남양주시 진접읍 등 3개 읍·면을 포함시키는 등 치안수요여건에 맞춰 분리하는 방안을 검토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남양주=최원류기자 wrchoi@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