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 정규리그 종착역이 다가오면서 FA(자유계약선수) 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시행 첫해인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를 맞는 올해 FA 시장은 K-리그 흥행을 좌우할 만한 ‘대어급’이 쏟아져 나옴에 따라 각 구단간 물밑 영입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올 시즌 종료와 함께 FA 자격을 얻는 선수는 이운재, 고종수(이상 수원), 김도훈(전북), 황선홍(전남), 우성용(부산), 신태용(성남) 등 전체 51명 중 팀의 간판급 톱스타만 해도 10명 선이다.
팀별로는 FA 대상인 96년 프로 입단 멤버가 주축인 수원이 가장 많다.
골키퍼 이운재를 비롯, 해외진출을 노리는 ‘앙팡테리블’ 고종수와 ‘캐넌슈터’ 이기형 등 12명이 수원에서 FA로 풀리고 성남(11명)과 부천, 부산(이상 7명)의 순으로 많다.
다만 대전과 울산의 경우 FA 대상자가 없어 재계약 협상으로 인한 전력누수 없이 느긋하게 내년 시즌을 대비할 수 있게 됐다.
이들 중 최대어는 한·일월드컵 4강 신화의 주역 이운재로 안팎에서 검증된 골키퍼인 데다 월드컵을 통해 ‘월드스타’로 떠 상품가치 면에서 단연 특급으로 꼽힌다.
정규리그 2연패를 눈앞에 둔 성남 차경복 감독은 “거의 모든 구단이 눈독을 들이고 있지만 이번 FA 중 영입 1순위는 이운재”라며 ‘러브콜’을 띄웠다.
이운재의 몸값 상승에는 러시아 출신 신의손(안양)을 귀화시킬 만큼 특출난 골키퍼가 없는 한국축구의 현실이 반영돼 있다.
고종수와 김도훈, 신태용 등 수많은 고정팬을 지닌 한국의 대표 공격수들도 골결정력 가뭄에 넌덜머리가 난 구단들 사이에 ‘귀하신 몸’으로 분류된다.
고종수에 대해 수원측은 “일본에서 제의가 오는 등 가시화된 것은 없지만 선수 본인 의사를 존중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회사 홍보라면 천금도 아깝지 않다는 삼성이 고종수를 순순히 내보내지는 않을 전망이다.
여기에 이임생과 박 철(이상 부천), 하석주(포항), 이민성(부산) 등도 1급 대상으로 꼽히고 있다.
다만 우성용 등 일부 선수의 경우 고종수처럼 해외진출을 모색하고 있어 구단들로서는 더욱 애가 탈 수 밖에 없다./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