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전문화예술’誌, 왜 이러나

경기문화재단이 격월간으로 발행하는 ‘기전문화예술’은 호당 3천만원의 예산으로 3천부를 발행하고 있다. 정가 6천원의 유가지임에도 1천여부만 유가배포되고 나머지는 무가배포된다고 한다. 최근 발간된 11·12월호의 경우 표지까지 합쳐 120쪽이다. 120쪽의 책자, 3천부 제작비가 3천만원이라면 적은 금액이 아니다. 면수도 일정치 않다.올 1·2월호는 108쪽, 7·8월호는 136쪽이다. 그나마 5·6월호는 발간하지 않았다고 한다. 11·12월 발행날짜가 11월 1일 이었듯이 5·6월호는 5월 1일 발행됐어야 했다.

그러나 6·13 지방선거를 의식, 권두언을 임창열 당시 지사의 원고와 손학규 지사 당선자의 원고 게재문제를 놓고 주춤거리다가 결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기문화재단이 경기도 예산으로 운영되다 보니 도지사의 눈치를 안 볼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대단한 착각이다. 경기도비는 도민이, 국민이 낸 혈세다. ‘기전문화예술’이 도민의 시선을 의식해야지 도지사 중심이 돼서는 안된다.

본란이 이렇게 소소한 사례들을 지적하는 이유는 ‘기전문화예술’이 문화예술계를 대변하고 문화예술인들이 많이 참여해야 하는 격월간지임을 잊었나 해서다.

거듭 강조하거니와 ‘기전문화예술’은 경기도의 문화예술을 발굴하고 도민들에게 수준 높은 문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998년 창간, 통권 22호를 냈다. ‘기전문화예술’이 도정홍보지로 전락했다는 여론이 계속 높아지면 곤란하다. 11·12월호가 기획특집으로 꾸민 ‘경기도의 문화정책’이 경기도가 발행하는 ‘주간 경기’에서 다룬 내용과 중복돼 관보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빈축을 사고 있다. 물론 문화와 관련된 내용이어서 재수록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독자들에게 도정홍보지 같은 인상을 주어서는 안된다.

경기도에 뿌리를 둔 많은 예술인들이 필진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불만도 간과할 일이 아니다. 문화예술지는 문학·미술·음악·사진·무용·국악·연극 등 모든 분야를 다양하게 다뤄야 한다.특집도 중요하지만 읽을거리가 적다는 얘기다. 어느 한쪽에 지나치게 치중하지 말아야 한다. 적지 않는 예산을 들여 발간하는 ‘기전문화예술’에 편집위원회조차 구성되지 않은 점은 이해할 수 없다. 도정 홍보지라는 이미지를 씻는 ‘기전문화예술’의 면모일신을 기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