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연시를 전후하여 이웃돕기 성금모금운동을 벌인다. 본사 또한 한국신문협회 결의에 따라 성금모금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이에 앞서 수해 등 성금모금이 있었다. 중복된 모금, 그리고 연례행사로 된 연말연시 이웃돕기 성금모금에 즈엄하여 지역사회에 정말 송구한 심정을 금치 못한다. 국민은 재해나 복지사업을 위한 재원으로 세금을 낸다. 적십자회비도 내고 크리스마스실도 산다. 이에 겹친 이웃돕기 성금은 준조세란 지적이 없지 않으나, 그보다는 전래 고유의 미풍양속으로 보는 판단을 우선하여 강조하고 싶다.
올해의 연말연시 이웃돕기 성금모금운동 또한 많은 지역사회 각계의 참여를 간곡히 당부하면서 한가지 제언하고 싶은 건 있다. 지역주민이 내는 성금은 경기도를 통해 특정단체에 의해 배분되는 것으로 안다. 그러나 지역사회, 지역주민은 각자 자신들이 낸 성금이 어떻게 집행되는 지를 알지 못한다. 속담에 ‘절도 모르고 시주한다’는 말처럼, 어떻게 쓰인지도 모르고 내는 것보다는 어디에 쓰인지를 알게 하는 것이 모금에 합당한 도리라고 믿는다.
그러므로 하여 배분 단체르르 감독하는 경기도가 전년 모금의 상세한 집행 내역을 공표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갖는다. 앞으로라도 이렇게 해마다 전개하는 연말연시 이웃돕기 성금모금 때면, 해마다 전년도 분이 어디에 어떻게 쓰였는지 궁금증을 풀수있는 그 효과와 내역을 공개하는 것이 모금운동의 참여를 폭넓게 촉구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라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경기도는 배분단체에 대한 철저한 감사를 병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물론 성금배분의 심사 등에 공정을 기할 것으로는 믿지만, 혹시라도 불요불급한 배분이 있거나 특정 종교단체 편중 또는 중복되는 지원이 있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감사는 서류상으로만 할 것이 아니라 현장 실사를 통한 확인이 철저히 이행돼야 한다.
해마다 40억원을 안팎의 지역사회, 지역주민의 성금이 경기도에 기탁됐다. 올해는 45억원 가량의 모금을 책정한 것으로 안다. 올해부터는 모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모금액의 행방을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에게 알리는 투명함이 경기도의 노력에 의해 이룩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연말연시 이웃돕기 성금모금에 많은 참여가 있기를 거듭 간곡히 당부해마지 않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