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방지 치안체제 확립해야

미국과 이라크간의 전쟁은 국내 치안의 완벽을 요구한다. 인천경찰청의 24시간 대테러상황실 운영은 매우 적절하다. 전쟁기간 중 시외버스 터미널, 지하철역, 대형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순찰을 강화하고 위해 물품 소지자에 대한 신고나 제보를 할 경우 보상금 지급 방침도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공항경찰대는 인천국제공항에 경찰특공대를 투입, 폭발물처리반(EOD)과 탐지견 등 인천공항 내·외곽 경계를 강화하고 보안검색에도 경찰을 고정배치시켰다.

인천국제공항공사가 특별대책반을 구성, 운영에 들어가 24시간 소방·의료팀을 출동 대기시키는 등 긴급 피난 및 구호체계를 확립한 것도 발빠른 대책이다.

승객에 대한 보안검색을 현 전체인원의 20%에서 90%로 확대하고 노트북, 캠코더 등 전자제품을 폭약탐지 장비로 정밀검사한다고 한다. 해경도 전국 항만과 여객선터미널, 주요 임해산업시설 등에 대한 대테러 안전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원자력발전소와 LNG 저장시설 등 주요 임해산업시설 및 항만, 여객선, 위험물 운반선 항로상에 경비함정을 중점 배치하고 관할해역 내 이동선박에 대한 검문검색을 철저히 실시토록 해야 한다. 특공대와 특수기동대, 항공기, 경비함정 등에 긴급 출동태세를 24시간 유지하고 해경 본청과 전국 해양경찰서에 대테러 상황실을 설치, 운영하여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

인천공항·항만·터미널 등 경제활동 강화도 중요하지만 생물테러 대책반 운영도 시급하다. 미국의 9·11테러 당시 도내에서 탄저균으로 오인한 신고가 58건에 달한 사실을 상기해야 한다. 이라크전의 경우 국내에서도 이같은 사태가 재연되고 혼란을 틈탄 천연두 바이러스·탄저균의 사용 및 유출가능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생물테러 대책반은 공·휴무일을 포함 비상근무를 실시, 생물테러 감시체계 가동 및 관리, 비축물자 관리, 비상 상황 발생시 가용 자원의 현황 파악, 주민대상 교육 및 홍보 등 해야 할 일이 많다. 미국과 이라크간의 전쟁은 우리나라 국방과 치안상 결코 좌시할 상황이 아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