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4 재보선 공명선거로

고양 덕양갑, 의정부 등 4·24 재보선이 본격화하였다. 후보자들이 난립해 혼전 양상을 보인다. 여야간에 지도부가 총출동하는 대리전 태세도 전망된다. 정국 향방의 시금석으로 보는 관점이 있으나 꼭 그런것만도 아니다. 어디까지나 재보선이다. 과거의 재보선이 정국 운영에 치명적 영향을 미친 적은 거의 없다. 한나라당은 지난해 재보선에서 다 승리하고도 대통령 선거에선 패배했다. 이번 재보선이 또 국회 의석의 과반 분포를 좌우하는 것도 아니다.

본란은 4·24 재보선을 그보다는 다른 의미로 주목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공명선거가 이행돼야 한다. 새 정부 들어 갖는 첫 선거이기 때문에 더욱 주목된다. 정치개혁은 공명선거에서 시작한다. 부정불법을 일삼는 타락선거로는 절대로 정치개혁이 불가능하다. 타락선거는 그 자체가 청산돼야할 정치개혁의 대상이다. 선거전의 혼전과 과열이 반드시 타락선거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데도 타락선거로 전락하곤한 과거의 예는 대개가 상대방 비방이 그 촉발점이었다. 비방은 또 비방을 낳아 눈더미처럼 부푸는 타락양상에서 또 다른 온갖 부정과 불법이 난무하였다.

이러한 타락선거를 척결하기 위해서는 선관위를 비롯한 당국의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 사소한 위법사실도 절대 묵과하지 않는 결연한 의지 표명과 함께 처리 기준의 잣대가 모두에게 공평해야 한다. 그리고 위법의 혐의사실 처리는 그때마다 신속해야할 필요가 있다. 선거꾼들의 색출 및 엄단도 있어야 한다. 이 후보, 저 후보 진영을 기웃거리며 갖은 감언이설로 표를 몰아줄 듯이 흥정하는 선거 사기꾼들에겐 철퇴를 가해야 한다.

아울러 유권자의 의식이 중요하다. 공명선거는 유권자의 책임과 무관하지 않다. 부정과 불법을 일삼는 후보자는 단연 배척할 줄 알아야 한다. 낙선운동이 따로 있는 게 아니다. 타락선거를 벌이는 후보자에게는 미래가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유권자의 말없는 낙선운동이다. 보름 남짓 남았다. 아무쪼록 새 정부들어 오는 24일 처음 갖는 국회의원 재보선이 공명정대하게 치러지기를 기대해마지 않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