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당시 내세웠던 각종 공약은 모두 지켜야 되지만 특히 환경문제는 우선적으로 사명감을 갖고 실천해야 한다. 그러나 지난해 인천시와 8개구·군 지자체장들이 제시했던 환경분야 공약들이 이행은 커녕 되레 역행하고 있다고 지적됐음은 심히 유감스러운 노릇이다.
인천녹색연합이 엊그제 발표한 ‘인천시 및 군·구별 단체장의 환경관련 공약 평가와 공약이행 조사 활동 결과’ 를 보면 시민을 무시하는 시책이 한눈에 드러난다.
인천시의 경우는 도무지 앞뒤가 맞지 않는 시정을 펼치고 있다. 녹지공간 조성을 위해 300만그루 나무심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한편으로는 학교 및 체육시설 용지로 그린벨트 20만㎡와 녹지 보전지역 19만㎡를 개발하기로 한 것이 그 중 한 예다.
갯벌 보전은 더욱 공약과 역행하고 있다. ‘갯벌보호 헌장’까지 제정하고 강화도 갯벌을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 한다더니 오히려 강화갯벌 일부 지역을 해제하였다. 자연환경보전조례에 따라 지난해 11월 지정한 중구 영종·용유 남단과 옹진군 영흥도 일대의 갯벌은 더욱 훼손이 심하다. 이들 갯벌을 임시생태보전 지역으로 지정한 목적은 관광객들의 무분별한 출입을 제한, 훼손을 막고 어패류를 보전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최근 토요일과 일요일에 나들이객 수만명이 갯벌에 들어가 조개류를 마구 캐 오염시키고 있는데도 출입을 막는 시설이라고는 임시생태 보전지역을 알리는 표지판 ‘부위’ 27개가 고작이다. 게다가 송도 등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해 1천만평 이상의 갯벌 매립을 추진중이라니 어처구니가 없다.
기초 단체장들도 환경의식이 부족하기는 마찬가지다. 대부분 환경 문제가 많은데도 선거 당시 제시한 공약수가 2 ~ 3개에 불과한데다 그나마 거의 인천시가 추진중인 사업을 끼워 넣었다. 특히 일부 단체장은 자신의 임기 중 할 수 없는 미군부대 이전(2008년) 부지에 워터피아를 조성하겠다는 공약을 했을 정도다.
인천시장 및 구·군 단체장들은 환경보전정책 뒤편으로 녹지를 훼손하거나 갯벌을 매립하는 이와 같은‘공약 따로, 정책 따로’인 시책으로 시민들을 더 이상 우롱하지 말아야 한다. 앞으로 시민동의 절차없는 이중적 환경정책을 즉각 중지하고 환경 공약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을 촉구해 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