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賞)이라는 것

서예대전의 작품 입상을 둔 이면 거래로 많은 중견 서예인들이 사법처리 된데 이어 한국발명진흥회가 또 말썽이 됐다. ‘발명의 날’에 정부가 시상한 수상업체들에게 상을 받도록 했으니 대가로 돈을 내라며 상당액을 뜯어냈다는 것이다. 하긴, 이런 것들은 빙산의 일각일지 모른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시상하는 각종 상도 알고보면 엉터리가 많다. 어느 시상의 심사에 참가했던 한 인사는 “다 짜고 치는 고스톱판이더라”면서 “괜히 들러리만 섰다”고 개탄하였다. 또 시민단체 같은 데서 기관장 상을 달라며 신청하는 자원봉사자나 자원봉사 학생의 공적서를 터무니 없이 과대포장하기가 일쑤이다. 특히 대학 진학에 도움이 큰 일부 고등학생들 대상의 일부 시민단체 공적서 날조는 더욱 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공적서를 사실대로 정직하게 만들어 내는 사람들만 역차별 당해 억울하게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공직사회에서도 상을 나눠 먹기는 마찬가지다. 가령 무슨 날을 앞두고 각급 표창이 있게 되면 실국·과별로 인원을 돌아가며 배정한 뒤 해당 과에서는 누가 어떤 시험을 치러야 하니 어느 급의 표창을 배정하고, 또 누구는 언제 승진해야 하니까 어느 급의 표창을 배정하는 식으로 고과 점수에 짜맞춰 상을 안배하는 게 준공식화 했었다.

대개는 상이란 게 이렇다 보니 알고보면 상의 권위만 떨어지게 마련이다. 무엇보다 계면쩍은 건 칭찬은 남이 해야 한다는데 ‘나한테 제발 상 좀 주십시오’하고 공적서를 만들어 도장을 찍는 일이다. 하지만 노벨상도 공적서를 만들어 내야 비로소 심사의 대상이 되는 모양이니 어쩔 수 없는 일인 것 같다.

더러 나눠 먹는 상이고, 염치 불고하고 구렁이 제몸 추는식으로 공적서를 만들어야 하는 게 상이지만 그래도 세상은 상을 따진다. 어떻든 시상에 흠이 가지 않도록, 누가 보아도 좀 더 수상의 권위가 서는 그런 시상 풍조가 확립되면 좋겠다./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