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문예회관 전시실 ‘찬밥신세’

경기도문화예술회관이 공연에 치우친 문화행정으로 미술·사진 등 전시분야 예술인들과 애호가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전시장이 지하에 위치해 열악한 환경에 작품 운반이 어렵고 이동 칸막이 등이 지저분한데다 회관에 전시기획자 등이 없어 ‘찬밥 신세’라는 것이다.

실제 최근 미술협회 경기도지회 주최로 문예회관 대·소전시실에서 열린 제39회 경기미술대전 입상작품전에는 작품 수가 많아 이동 칸막이를 설치했는데, 지하 구석에 방치해 먼지로 얼룩진 간이벽을 그대로 사용해 작품의 품격은 물론 전시장의 미관을 크게 해쳐 미술인 및 관람객의 인상을 찌푸리게 했다.

지난 5월초 열린 ‘경기 아트페어’에서는 이 지저분한 이동칸막이를 주최측이 직접 하얀페인트로 칠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도문예회관은 대·소공연장과 대·소전시장의 문화공간을 통해 지방문화예술 활성화와 도민들에게 다양한 문화혜택을 제공하고자 건립했으나 전시분야는 공연분야에 비해 열악한 전시환경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전시장은 건립당시부터 지하에 위치한 기이한 구조로 작품 반입 및 보관상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수장고와 작품 운반을 위한 시설 부족으로 지역 미술인들의 원성을 사왔다.

전시때마다 계단을 이용해 대형작품을 운송하려면 진땀을 빼야하는데 지상과 지하 전시장을 유일하게 연결하는 리프트는 건립 당시 자재를 나르던 것으로 기아 마모 등 안전상의 이유를 들어 사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에도 도문예회관은 작품 운반에 따른 기본설비조차 마련하지 못한 가운데 최근 짓고있는 지하주차장을 설계하면서 처음에 전시장과 연결된 통로를 마련하지 않아 또한번 미술인들의 원성을 샀다.

지역미술인들의 반발에 문예회관측은 뒤늦게 지하주차장과 전시장 연결통로에 대한 설계 변경을 도건설본부에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술협회 한 임원은 “도문예회관이 공연 위주의 사업에 치중해 전시는 나몰라라 한다”며, “전시도 활성화 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성토했다.

최근 도문예회관의 전시장은 100% 대관에 의존하고 있으며 자체 기획이나 전문인력(큐레이터)이 없어 방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올 145억여원의 예산중 전시분야와 관련된 예산은 전무한 상태며, 전시장 대관을 담당하는 부서 또한 시설 관리를 위주로 하는 관리과에서 맡고 있어 단순 대관에 치중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도문예회관 관계자는 “시설관리 등 한정된 예산으로 전시까지 고려할 여유가 없었다”며 “내년에 예산을 편성해 기획전시를 고려해 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와는 반대로 의정부예술의전당은 전시예산을 편성해 최근 ‘헤르만 헤세 특별기획전’을 비롯 ‘운보 김기창 특별전’, ‘천상병시인 추모10주년 기념전’ 등 굵직한 기획전을 10여회 열어 호평을 얻고있다.

미술평론가 최열씨(가나아트센터 기획실장)는 “문예회관 전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미술가와 전시장 운영주체가 공동으로 전시장 운영방안을 토의할 필요가 있다”며 “지역의 사립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기획전을 여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특히 “국립현대미술관이 전국을 돌며 펼치는 ‘찾아가는 미술관’ 프로그램의 벤치마킹과 지역미술인의 참여를 유도해 미술교육프로그램 강의와 큐레이터 역할을 지원받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이형복기자 bo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