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의료환경 왜 이런가

도내 의료관리 실태가 문제점 투성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의해 불량주사제가 무더기로 적발됐는가 하면 일부 대학병원들의 방사선 안전관리가 심히 허술하다. 특히 일반 병의원 상당수가 과대 광고를 하고 있으며 마약류 약품 취급에도 구멍이 크게 뚫려 있어 대형 사고들이 크게 우려된다.

의료시설 이용이 늘어나고 의료욕구가 높아질수록 의료 환경이 쾌적해야 하는데 오히려 불량해진다면 여간 심각한 사태가 아니다.

도내 소재 제약회사의 80%가 약사법 위반혐의로 적발된 것은 어떠한 이유로도 용납이 안된다. 황산네틸마이신 원료시험중 무균시험을 실시치 않았고, 액상주사제인 ‘캠푸토주’와 백신제제를 동일 작업소에서 충전해 밀봉·포장해오다 적발됐다. 대형 주사제조업체들도 약사법 등 규정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았다니 도대체 이런 의료안전 불감증이 어디에 있는가.

2001년부터 올 6월말까지 방사선동위원소 등의 취급기관들에 대한 정기검사 결과 도내 일부 대학병원과 대학·공장들이 안전관리규정을 위반하거나 방사선 측정기 검교정을 실시하지 않은 것도 놀라운 일이다.

방사선 관리구역에 일반인이 무단 출입했거나 안전관리규정을 위반한 병의원들이 태반인 점은 간과할 일이 아니다. 오염측정조차 실시하지 않은 곳이 상당수에 이르고 심지어 방사선동위원소 사용자에 대한 건강진단을 실시하지 않을 정도로 의료관리 상태가 너무 허술하다. 이렇게 많은 기관, 특히 의료기관들의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은 중대한 사태가 야기될 수도 있어 적절한 대책이 요구되는 일이다.

병·의원들이 환자 확보를 위해 일부 진료과목을 ‘전문’으로 한다는 광고를 하는 것도 환자들을 기만하는 행위다. 신문에 게재할 홍보광고를 만드는 과정에서 실제로 전문의가 없는데도 ‘전문’이라는 문구를 사용하는 것은 분명한 의료관련법 위반이다. 더구나 마약류 약품 등에 대한 관리소홀이 여전해 229곳이나 적발됐다니 불안하기 짝이 없다.

더욱 큰 문제는 불량주사제 등이 주입됐을 때 나타나는 부작용을 환자들이 전혀 모르고 있는 사실이다. 당국은 발병시 증세를 사전에 인지시키는 것은 물론 의료법 위반업체 및 병·의원 단속을 더욱 지속적으로 실시하기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