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와 직업상담원 노조가 ‘정규직 수준’에 준하는 고용보장을 해 주기로 잠정 합의하자 노동부 직장협의회가 크게 반발, ‘노-노갈등’이 우려되고 있다.
12일 노동부와 직업상담원 노조 등에 따르면 양측이 단체교섭을 통해 잠정 합의한 교섭안에 대한 노조원 투표를 실시한 결과 전체 조합원 1천800여명 가운데 83.3%가 찬성, 가결됐다.
이번 잠정합의안은 닲임금 8% 인상 닲57세까지 계약 자동연장 닲 직업상담원제도 발전협의회 설치 등이 포함돼 사실상 비정규직인 직업상담원들이 정규직 수준의 고용을 보장받게 됐다.
그러나 노동부 6급이하 직원들의 모임인 노동부 직장협의회 소속 300여명이 이같은 단체교섭에 반발, 지난 10일 오후 연가를 제출한 뒤 교섭장소인 서울지방노동청을 항의 방문하는 등 본격적인 활동에 나설 방침이어서 노동부내 ‘노-노갈등’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수원지방노동사무소의 한 직원은 “직업상담원 노조원의 생활안정 등을 위한 처우개선은 바람직하지만 정규직화는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정부의 무원칙적인 정책으로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마찰만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상천기자 junsch@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