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이 시즌 개막작으로 선보인 오페라 ‘리골레토’에 전라·반라의 남녀 연기자가 출연한데 이어 무용계 쪽에서도 전라 장면이 등장하는 작품들이 잇따라 무대에 오를 채비를 하고 있다.
지금까지 무용, 연극 등 여러 장르에서의 ‘벗는’ 시도는 심심찮게 있어왔고, 그럴때마다 ‘예술이냐, 외설이냐’라는 논쟁과 함께 상업성에 대한 비판이 종종 일기도 했다.
‘리골레토’의 경우 비록 해외 연출진이 만들긴 했지만 국내 오페라 공연 사상 처음으로, 그것도 국내 대표적 공연장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무대에서 전라신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공연전부터 상당한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이 ‘문제의 장면’은 작품 전체에서 보면 일부지만, 상반신을 드러낸 여성 6명이 남성들과 벌이는 ‘유희’가 10여분간 노골적으로 묘사됐으며, 남녀 한쌍은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나체를 관객들에게 보이기까지 했다. <사진>사진>
그런가하면, 무용 쪽에서도 오는 25~26일 문예진흥원 예술극장 대극장에서 미국의 현대 무용수 모린 플레밍이 1시간 동안 알몸으로 춤을 추는 현대무용 ‘애프터 에로스’가, 27~29일 예술의전당 토월극장에서는 전체 45분 가운데 10여분간 전라 장면이 등장하는 프랑스 프렐조카주 발레단의 ‘봄의 제전’이 각각 공연된다.
12월 6일부터 내년 1월 18일까지 한전아츠풀센터에서 공연될 뮤지컬 ‘풀몬티’에서는 극중 철강 노동자로 분한 배우들이 생계를 위해 스트립쇼를 벌이며 실제로 나체를 보여주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렇듯 잇따르는 일련의 작품들 속에서 누드가 일부이건, 전체이건, 작품의 초점이 무엇이건 간에 이를 대하는 관객과 공연 기획자들의 시선은 어떠할까.
전회 매진을 기록한 ‘리골레토’의 경우 관객들이 관심이 ‘선정성’ 논란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 기획을 한 예술의전당이 공연전 대책회의까지 열며 고심을 거듭했지만 정작 공연이 끝난 후 관객들의 반응은 차분했다.
예술의전당은 “사실 예전 같으면 쉽게 들여오지 못했을 작품인데 이제 ‘몸’에 대한 담론 자체가 상당히 자연스러워진 것 같다”며 “관객들도 이번 작품을 드라마 전개 과정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