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철도에 역이 많은 게 좋은 건 아니다. 역사 하나 짓는데 1천200억원이 들기도 하지만 정차에 7분이 소요된다.
이번에 울산·오송·김천역이 추가돼 역이 모두 11개로 늘었다. 역 정차에 모두 70여분이 소요되므로 고속철이 아니고 ‘저속철’이란 말이 이래서 나올법 하다.
그러나 역사 지정이 고속철의 효율이나 국가경영의 효율면에서 타당하다고 보기에는 심히 어렵다. 역의 수는 적고 효율적인 측면은 높아야 한다면 상대적으로 역의 수가 많으면 효율은 그만큼 떨어진다고 판단되기 때문일까. 도대체 역 지정의 기준이 무엇인지 심히 의문이 많다.
평택은 동북아 물류의 신 거점인 평택항이 있으며 포승국가산업단지가 있는 서해안시대 배후 도시다. 해가 갈수록 그 역할의 비중이 높아갈 것이다. 여기에 미군 용산기지가 이전된다. 경기도는 미군과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화도시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기존의 미 공군부대를 합쳐 수많은 미군 및 가족들이 특유의 생활벨트를 형성한다. 송탄관광특구를 비롯한 새로운 국제관광 도시로의 도약이 기대된다. 어느 모로 보든 경부고속철도의 평택역 추가 지정은 당연하다.
이런데도 제외됐다. 예를 들면 천안 같은 곳은 전부터 고속철도 역이 지정됐다. 천안뿐만이 아니다. 충남지역엔 아산과 대전을 합쳐 세군데나 된다. 정부의 신행정수도와 연관이 있다고 치더라도 이는 경기도에 비하면 차이가 나도 너무 엄청나다.
광명역은 거의 출발역이나 다름이 없다. 도내에는 광명역 하나뿐이다. 수부도시인 수원도 서지 않는 건 그렇다고 하더라도 평택은 경제적·국제적 입지 조건과 다른 도와의 형평성 등을 감안해서라도 당연히 추가 지정에 포함됐어야 한다.
이런데도 제외된 게 천안역이 가까운 이유라면 당초부터 잘못됐다. 천안이 평택보다 고속철도 역이 우선할 수 있는 객관적 판단은 있을 수 없다. 이에 평택지역사회는 실망과 분노 속에 고속철도역 설치를 중앙 요로에 재건의할 것을 추진하고 있다.
어떻게 보면 그동안 너무 안일하게 대처하지 않았는지 반성할 점도 없지 않다. 평택지역 사회만이 아니다. 경기도를 비롯한 지방정치권과 지방경제인들도 함께 나서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경기도는 정부로부터 여러가지로 역차별당하고 있다. 이런 마당에 고속철도 역마저 당위성이 무시되는 역차별을 당하고 있는 건 묵과될수 없다. 앞으로 서해안 물류의 배후도시를 드나드는 외국인 평화도시의 미군과 그 가족, 그리고 외국 관광객들이 고속철도 역이 없어 겪게 되는 불편을 정부는 부끄럽게 여겨야 한다.
이를 막기 위해선 평택역이 세워져야 하는 건 너무나 당연하다. 내국인 승객 입장에서도 평택역은 경기도 남부의 500만 인구를 승차 시장으로 포용하고 있다. 이같은 거대 시장을 외면하는 건 고속철도의 채산성을 스스로 외면하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가능하다면 경부고속철도의 역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역의 수는 적으면서 효율은 극대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천문학적 수치의 돈을 투입하는 국가 기간교통의 사회간접자본에 부당한 지역이기주의 입김이 작용되선 효율의 극대화가 어렵다.
이미 지정된 역 가운데 이같은 폐단이 없는 곳이 없다고 단정하긴 어려울 것이다. 만약 재조정이 불가능하다면 평택역만이라도 조속히 추가돼야 한다. 이는 결코 지역이기주의가 아닌 국민경제와 고속철도의 효율화를 위한 것임을 정부 당국은 깊이 성찰해야 한다.
/이수영.경기남부권 취재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