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수원사업장이 고부가가치 위주로 생산라인을 개편하면서 부가가치가 떨어지는 일부 품목의 생산라인을 이미 해외나 타지역으로 이전했거나 이전을 추진중에 있어 수원지역 경제에 심각한 파장이 예상된다.
지난 97년 냉장고, 세탁기 등 백색가전 생산라인을 광주광역시로 이전한데 이어 전자레인지 생산라인도 올 4월 필리핀으로 이전하여 지역경제에 타격을 주었다.
더구나 삼성전자는 최근 노트북PC, 에어컨, 액정표시장치(LCD) 모듈 라인을 중국으로 옮기는 작업을 진행중이어서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삼성전자 수원사업장이 변신을 꾀하는 것은 인건비 등 생산에서 경쟁력이 없어진 탓이지만 이렇게 생산 라인의 ‘脫수원’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수원사업장에서 생산직 근로자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삼성전자는 2005년말 준공을 목표로 건축중인 지하 5층, 지상 35층 규모의 디지털미디어연구소가 들어서면 7천여명의 연구인력이 추가로 배치돼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지만, 생산직 근로자가 극소수라는 점에서 삼성전자의 생산라인 이전을 동의하기가 심히 어렵다. 여기에다 기아자동차(기아차) 광명 소하리 공장마저 충남 서산으로 이전설이 나와 경기도 경제를 더욱 흔들고 있다.
만일 기아차가 이전할 경우 현재 15만평에 달하는 소하리 공장 부지가 그린벨트에 묶여 있어 부지 활용에 대한 대안이 없는데다 이 일대 상권 붕괴가 불보듯 뻔하다.
특히 광명 지역 유일의 대기업인 기아차가 이전한다면 지역 경제 파탄은 물론 광명지역의 베드타운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돼 심히 걱정스럽다.
삼성전자 수원사업장이나 기아차의 광명공장이 자사 경영상 생산라인을 이전하려는 계획을 물리적으로 반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삼성전자 수원공장과 기아차 광명공장이 경기도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국외나 타도로 모든 생산라인을 이전하는 문제에 대해 재검토가 있기를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