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수능 더 필요한가?

학원 강의 전력이 있는 출제위원에 대한 자격 이의 제기에도 불구하고 공식 검증없이 선정됐다.

출제위원 명단 및 지문이 교감 등에 의해 사전 유출됐을 가능성에 대해 더 확인할 필요가 있다. 출제위원 156명 중 특정대학 출신이 90명에 이르러 학연 중심의 추천 양상을 보였다. 출제위원 가운데 14명은 4~8회나 연속 참여했다. 출제위원 23명이 수능 문제지나 참고서를 집필한 경력이 있다.

이상은 수능 논란에 대한 교육인적자원부의 진상조사 결과의 요지다. 복수정답의 인정 경위에 대한 타당성 여부는 제외됐다.

단 1점이라도 더 따기 위해 온 집안이 다 함께 노심초사해온 수험생과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맥이 풀려 허탈할만큼 수능 관리가 허술하다. 걱정되는 것은 이런 폐단이 앞으로 시정된다고 자신있게 장담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이다. 교육부는 출제위원 선정 및 문항 오류 시정을 위한 제도 보완 등 수능시험 시스템 전반에 걸친 대수술을 가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예컨대 개선 방안으로 제시한 출제위원 선정 과정의 투명성 및 검증체제 강화 같은 건 전에도 늘 해왔던 소리다. 문항 정답의 사전 검토 역시 마찬가지다.

미봉책에 급급하기 보다는 대학 입시의 전환을 모색하는 근원적 검토를 권고하고 싶다. 방대한 수험생 답안지의 채점 편의상 객관식 출제가 불가피하긴 하지만 응용력 분별력 표현력을 테스터하는 덴 문제점이 많다. 주관식도 병행되어야 한다.

대학 입시에서 국가는 손을 떼고 가르치겠다는 대학과 배우겠다는 수험생들 간에 맡기는 게 좋다는 판단을 갖는다. 그 대신 졸업시험을 국가가 관리하여 이에 들지 못한 재학생은 몇년이고 공부를 더 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이래야 대학이 경쟁화하면서 면학분위기가 가열된다. 또 국가관리의 졸업시험 합격률로 새로운 명문대학 판도가 조성될 수 있다.

수능시험을 치르고 대학에 들어가 여덟번의 등록금만 내면 졸업하는 것이 지금의 대학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대학이 외국의 대학에 비해 공부를 얼마나 더 열심히 하는가는 지극히 회의적이다.

국가가 간여하는 대학입시는 수십년동안 수없이 고치고 또 고쳤지만 여전히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손을 떼는 발상의 전환이 있어야 할 시기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