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짱'

"국어대사전은 ‘짱’을 얼음장이나 굳은 물건 따위가 갈라질 때 나는 소리라고 풀이하고 있다.

‘얼짱’이니 ‘몸짱’이니 하는 조어가 거의 일반화 돼간다. 10대들 가운데서 나온 게 성인층에서 까지 일상용어처럼 쓰이는 이 세태가 얼마나 외모 지향주의인지를 말해 준다. 이러면서 여성 채용에 용모를 보는 게 여성 비하라고 주장하는 것은 또 얼마나 위선인 가를 보여준다. 미혼이라면 모르겠다. 중년 들어서 ‘얼짱·몸짱’을 찾는 것은 코미디다. 건강을 위해 살과의 전쟁을 벌이는 것도 아니고 마냥 ‘짱’에 도전하는 중년의 전쟁은 뭣을 위해서인 지 묻는다.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기왕이면 ‘얼짱·몸짱’이 되어 나쁠 것은 없다. 하나, 인터넷 사이트가 뜨거운 만큼 열을 올리는 것은 병리현상이다. 얼굴이며 가슴이며 엉덩이며 뱃살이며 심지어는 팔다리까지 성형수술하는 ‘조형짱’은 이미 자기가 아니다. 예로부터 미인의 기준으로 ‘3씨’가 있다. 맵씨·말씨·솜씨다. 조상들은 ‘얼짱·몸짱’을 맵씨라고 하였다. 그리고 ‘얼짱·몸짱’ 못지않게 말씨와 솜씨를 필수적 조건으로 삼았다.

사람은 누구나 나이대로 가야 어울린다. 중년이면 중년다운, 장년이면 장년다운, 노년이면 노년다운 얼굴과 체구를 지녀야 격에 맞는 것이다. ‘얼짱’이나 ‘몸짱’은 어디까지나 상대적이다. 상대적 가치를 추구하다가 절대적 가치를 상실하는 것은 참으로 우매한 처사다. ‘얼짱·몸짱’만이 행복한 인생을 영위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짱’이 아닌 사람들도 행복하게들 살고 있다. ‘얼짱’이나 ‘몸짱’들은 ‘맘짱’을 모르는 것 같다. ‘맘짱’이 덜 된 ‘얼짱·몸짱’은 한낱 인형일 뿐이고 인형은 이내 싫증을 느끼게 한다.

‘맘짱’을 가꾸는 데는 ‘얼짱·몸짱’처럼 돈이 드는 것도 아니다. 자신의 수양이기 때문이다. 속 깊은 ‘맘짱’은 참으로 매력의 진수다. 이를 모르고 ‘얼짱·몸짱’만을 찾다가는 인생이 얼음장 깨지는 소리처럼 ‘짱’하고 나갈 수가 있는 것이다.

/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