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가는 하천 대책 시급하다

"경기개발연구원(KRI)이 조사한 ‘경기도내 하천의 건천화 방지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경기도내 하천의 11%가 물이 말라 바닥이 보일 정도로 건천화됐다고 한다. 하천의 건천화는 최근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으로 대책이 조속히 마련되지 않으면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이 초래됨은 불문가지다. 특히 물이 없는 하천에는 생명체가 살기 힘들고 건천화 기간동안 인간의 활동에 필요한 용수도 공급할 수 없게 돼 직·간접적인 피해가 여간 큰 게 아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하천 정책은 3단계로 추진돼 왔다. 첫 번째 단계는 홍수방지를 위한 치수대책이었고, 두 번째는 하천의 수질개선, 세 번째가 하천 유량확보였다.

문제는 선진국은 이 세 가지를 동시에 고려하여 하천과 그 유역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데 비해 우리나라는 당장 나타나는 문제의 해결을 우선시하는 데 있다. 더구나 그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됐다고 판단되면 다른 단계로 전환하는 임시변통식의 정책을 펼쳐 건천화를 초래했다.

홍수방지를 위한 하천정비는 결과적으로 생물이 서식할 공간을 파괴하여 물이 하천에 오랫동안 머물 수 없는 환경을 만든다. 수질개선 또한 대규모 하수처리장을 건설한 후 사용한 물을 모두 차집하여 하천 하류에 위치한 처리장에 유입시킴으로써 상류지역에 물이 급격히 줄어드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상대적으로 하천유량확보를 소홀히 하는 것이다.

건천화 방지를 위한 기술적인 대책은 하수처리장 방류시 재이용과 빗물이용시설 설치 두 가지가 현실적으로 대두되고 가시적인 성과도 기대된다. 하지만 이 기술들은 종합적인 도시배수 시스템에 의한 것이 아니고 단편적 기술의 적용이나 임시방편적인 성격이 크다. 따라서 건천화를 방지, 하천 고유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수자원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치수대책과 수질개선 대책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

하천의 고갈은 결국 인간활동의 문제로 귀결된다는 사실을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된다. 하천의 건천화는 인간생활의 건조화를 의미한다. 하천에 항시 물이 흐르도록하는 대책을 속히 마련하기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