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에서 순찰을 돌다 보면 골목길 등 후미진 곳, 주차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주차문제로 시민간 잦은 시비 충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 유형을 보면 출근하려고 하는데, 연락처를 남기지 않은 자동차가 입구를 막고 있거나 이중 주차를 해놓는 등 발을 동동 구르는 경우다. 당사자는 이곳 저곳 문제의 차주를 수소문 하다 결국 112 또는 지구대(옛파출소)에 신고를 하여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기에 이른다.
출동하여 확인해 보면 주로 외지차가 많은 편인데 어렵게 경찰전산망 차적조회 등 갖은 방법을 통하여 주차민원을 해결하면서 매번 느끼는 아쉬움은 문제가 된 차량들이 한결같이 자동차 전면에 연락처를 남기지 않아 신고에 이른 경우가 허다하다.
자동차 비상연락처를 남기는 것은 차주 각 개인 양식의 문제지 법률적인 강제는 아니다. 하지만 골목길 주차문제는 이미 오래전부터 포화상태고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대부분 양식있는 시민이면 연락처를 남기는 것은 운전자의 기본 자세다.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에서 ‘연락처’를 남기지 않아 다른 시민에게 불편을 준다면 이는 마땅히 의식 개선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된다. 주차문제가 사회이슈가 되어버린 요즘 자동차에 연락처를 남기는 작은 배려가 나와 남을 편하게하고 골머리를 앓고있는 주차문제에 일조하며 질서를 원활하게 한다면 자동차를 가지고 있는 우리 모두 ‘자동차 연락처’ 남기기를 생활화해야 한다. /강동현·안양경찰서 명학지구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