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립골프장 건립의 전제조건

용인시는 시립골프장 건설에 좀 더 객관적 타당성을 진단시켜 보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우선 지역사회의 공청회를 통한 공론화가 있어야 하고 남사면 통삼리, 백암면 가창리 일원의 후보지 62만9천평 규모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와 함께 인근 주민의 동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용인시는 아직 시립골프장 조성 기본조사 설계용역비 12억8천500만원마저 시의회에서 전액 삭감되어 그럴 계제가 안된다고 할지 모르겠으나 그래도 이것이 병행되어야 설득력을 지닌다.

또 경영수익사업과 더불고자하는 골프학교 개설 등 꿈나무 양성에 대한 구체적 추진 계획이 서 있어야 한다. 이래야 무려 1천400억원이 투입되는 시 직영사업에 대한 진지한 검토가 가능하다.

이런 사업의 구체성 제시없이 그냥 시가 골프장을 만들겠다고 하면 그렇지 않아도 골프장천국인 터에 무슨 또 시립골프장이냐는 핀잔을 듣는 게 당연하다. 시 재정을 위한 경영수익사업이란 것도 하필이면 웬 골프장 장사를 해야만 하느냐는 반박도 들을 수가 있다. 그러나 좀더 적극적으로 해석하면 용인이 골프장을 23개나 갖고 있는 골퍼메카로 이미 자리매김된 마당에 18홀 규모의 시립 대중골프장을 만드는 걸 꼭 나쁘게만 볼 이유는 있을 것 같지 않다. 다만 이같은 관점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경영수입의 전망이 담보되고 골프영재 양성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구체적 사업계획의 가시화가 제시돼야 한다.

이번에 시의회에서 기본조사 설계용역비 12억8천500만원을 전액 삭감한 이유가 이같은 사업계획의 구체성이 결여됐기 때문이라면 삭감된 게 마땅하다. 용인시는 설계용역도 갖지못한 상태에서 그같은 사업계획의 구체성 제시는 무리라 할지 모르겠으나 그렇지가 않다.

만약 설계용역을 해보아 마땅치 않아 그만 둘 요량이라면 거액을 들여 굳이 시작해볼 필요가 없다. 용역비 12억8천500만원만 날리는 시도라면 소중한 시민의 세부담인 예산만 낭비된다.

무엇보다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반대가 없는 이러지 못해 설령 반대가 있어도 설득할 수 있는 검증 절차를 거쳐야 일사불란한 사업추진이 가능하다. 중도에 봉착하는 난관으로 갈팡질팡 할 것 같으면 아예 시작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시립골프장 건립이 단순히 시 편의적 시설이거나 유지들의 공짜 출입 단골이 되어서는 안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