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는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고 불릴 만큼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고장이다. 선사이전 고대인류의 흔적인 패총(貝塚), 지석묘, 입석을 비롯, 개국이래 고성(古城) 등 민족문화의 소중한 유적이 오늘날에도 역연(歷然)하다. 특히 농촌문화, 철새와 개펄, 우거진 산림이 잘 보존된 생태공원으로도 손색이 없다. 이러한 강화도에 시속 80㎞이상 달릴 수 있는 준고속화도로 건설이 추진되는 것은 지역입지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사업이다.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강화읍~화점면 이강리까지 기존 48번 국도를 시속 80㎞의 준고속화도로(왕복 4차로·12.7㎞)로 만들려는 것은 적합지 못한 일로 평가된다.
20년 뒤의 교통량 등을 고려해 기존도로와 접근이 가능하도록 교차로를 만들고 도로 아래로 통로박스를 설치해 차량이나 주민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할 계획이라고 국토관리청은 말하고 있으나, 강화도 주민들은 준고속도로 건설을 전면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주민들에게 필요한 것은 시속 80㎞이상 달릴 수 있는 차도가 아니라 마음 놓고 다닐 수 있는 인도가 확보된 도로, 편안하고 안전한 농로 등이라는 게 반대 이유다. 2003년 1년 동안 강화도에서는 316건의 교통사고가 발생, 434명의 사상자가 났었다. 이는 보행자 전용도로가 없고 차량 위주로 건설된 도로에 원인이 있었다. 현재의 교통체증은 김포와 서울, 인천 등 수도권 교통문제로 인한 지체일 뿐이지 강화도 지역 내 교통소통은 매우 원활하다는 게 강화도 주민들의 한결같은 얘기다.
두 말 할 나위 없이 강화도는 고색창연한 역사의 현장이다. 준고속도로보다는 주민과 관광객들이 안심하고 보행하며 유적지를 관광할 수 있는 인도가 확보된 도로가 제격이다. 1천600억원이라는 막대한 국고를 투입해 강화도의 시민연대·환경단체 등이 반대하는 준고속도로를 굳이 건설할 이유가 없다. 특히 지역을 양분하는 등 지역주민의 삶과 정서에도 맞지 않는다.
강화도의 역사와 자연환경을 보존하는 차원에서 고속화도로 건설은 백지화해야 한다. 1천600억원의 예산이 확보됐다면 보행도로 개설과 문화재보호 및 보수비로 전환,사용하는 방안을 강구하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