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명 과학기술부총리는 지난 11일 열린 ‘과학기술중심사회로 가는 길’ 대토론회에서 19개 이공계관련 국책연구소의 연구자중 탁월한 연구결과를 내는 연구자에게 파격적인 대우를 약속했다.
이와 함께 국책연구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학교수가 국책연구소로 자리를 옮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러한 약속은 대단히 시의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이러한 약속이 지켜져야 국책연구소의 연구원들이 기회만 생기면 대학교수로 자리를 옮기려는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며 국책연구소가 대학보다 연구 환경이 훨씬 좋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이공계 출신 박사의 70% 이상이 대학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이의 구조조정을 통해 국책연구소의 경쟁력을 높일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또한 대학의 입학정원보다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수가 적은 현상이 나타나면서 입학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지방의 4년제 대학에 적신호가 켜졌다.
더욱이 지방대학의 이공계 대학원은 입학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이공계 기피현상의 치유책으로서 국책연구소를 활성화시키고 이공계 출신 기술자가 우대받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요즘 지방 국립대학간에 구조조정을 통한 통합이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이는 위기의식의 표현이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돼야하고 반드시 시너지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구조조정은 단순한 조직과 학교의 통합이 아닌 미래지향적인 방법이어야 하고 구성원간의 타협을 이끌어내야 한다. 특히 현재 선진외국의 대학에 비해 우리대학의 이공계학과 정원이 많다고 생각되므로 이공계 학과의 적절한 정원조정을 통해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그 동안 사회적인 냉대 속에서도 이공계 출신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산업사회로의 진입이 빠른시일 내에 이뤄졌으며 선진국과 경쟁할 수 있는 분야의 발전도 이뤄졌다고 할 수 있다. 아직도 우리사회는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잔재를 뿌리 뽑지 못하고 있으며 사회에 나와 취업하는 이공계 졸업생의 연봉이 인문계 졸업생보다 적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공계 경쟁력 강화의 타산지석은 중국이다.
중국은 사회주의를 지향하면서도 경제에 있어서는 자본주의 국가보다 더 자본주의적인 발상을 해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하고 있으며 매년 9%가 넘는 고도성장의 이면에는 중국 최고 지도층에 이공계 출신 관료의 의사결정이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최고 통치 집단 중 기술 관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70%를 넘는다. 다시 말하면 중국은 이공계가 통치하는 나라다.
앞으로 우리나라가 국민소득 2만, 3만 달러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선진국들과 기술로 경쟁해야 한다. 그 동안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 외국에서는 미래지향적인 기술개발에 참여하는 이공계 출신의 연구 인력을 우대하는 정책을 펴왔으며 그 결과 세계를 지배하는 초일류 기술을 가지게 된 것이다. 향후 우리나라도 이공계가 경쟁력이라는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경제정책을 운영해야만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만 달러 시대를 넘어 빠른 시일 내에 2만 달러, 3만 달러 시대로 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종 선 대진大 기계설계공학과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