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일 발생한 지하철 7호선 방화사건의 유력한 용의자 강모씨(50)가 경찰에 붙잡혔다. 하지만 수사과정에서 벌이진 경찰의 엉뚱한 수사를 놓고 보면 그리 칭찬받을만한 게 아니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자칫 선량한 시민을 단지 노숙자란 이유만으로 철창에 갇히게 할뻔해 손가락질을 받게 했기 때문이다.
경찰은 사건 발생 하루만인 같은달 4일 유력한 용의자라며 윤모씨(48)를 수원에서 붙잡아 조사했었다. 하지만 윤씨는 일관되게 범인이 아니라고 주장했었다. 그런데도 경찰은 윤씨를 범인으로 단정하며 신발과 옷 등을 수거해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감정까지 의뢰했었다. 경찰은 국과수가 ‘시료 부족으로 용의자 옷가지에서 휘발성 물질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확인해줌에 따라 결국 윤씨를 같은달 5일 석방했었다.
경찰은 용의자 윤씨 증거 확보에 실패함에 따라 일단 석방, 불구속 상태에서 수사를 계속하는 한편 화재발생 구간인 천왕~온수역 구간을 중심으로 ‘목격자를 찾습니다’란 제목의 제보전단을 배포하고 광명과 철산, 가리봉 등 3개 지하철역에 플래카드를 내걸고 지하철 구내방송을 실시하는 등 목격자 찾기에 나섰다. 특히 경찰은 결정적 제보를 제공한 시민에겐 최고 1천만원 포상금까지 내걸었다. 경찰은 이와는 별도로 신대~온수역 사이 7개 지하철역 폐쇄회로 TV(CC-TV)를 모두 수거, 용의자 윤씨의 탑승여부 등을 계속 조사하는 등 집요하게 윤씨를 물고 늘어 졌었다.
경찰은 이번 사건에 대해 그동안 고생한 경찰에 대해선 칭찬해야 하지만 잘못된 수사로 정신적·육체적 피해를 입었을 윤씨에 대해선 사과해야 한다. 또 수사과정 어디부터 잘못됐는지를 다시 한번 되짚어 보고 잘못을 되풀이 하지 말아야 한다.
/배 종 석 기자 ba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