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3일 대한체육회장에 당선된 김정길 회장이 올 상반기 중 북한에 가서 2008년 베이징올림픽 남북단일팀 구성 문제를 논의하겠다는 공약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남북통일이 민족의 염원이기 때문이다. 김회장은 “대통령 특사로 북한 당국자를 만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남북 단일팀 구성은 사전논의가 아직 없었을 뿐 아니라 남북간 예선을 치러야 하는 등 수월한 일이 아니다. 북한측 입장도 미지수다.
김회장은 또 체육 예산을 국가 예산의 1%로 끌어 올리고 체육청을 신설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그 전 단계로 문화관광부의 이름을 문화체육관광부로 바꿀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건강과 ‘웰빙’을 중시하는 시대 조류에 따라 쳬육청 신설은 필요하다. 하지만 굳이 문화체육관광부로 바꿀 것 까지는 없다. 곧 바로 체육청 신설을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다.
김 회장이 보다 먼저 해야 할 일은 김준용 전 회장 사퇴 이후 다소 위축된 스포츠 외교를 강화하는 것이다. 과거처럼 거의 한 사람이 하다시피 할 게 아니라 각국 대사관에 스포츠 외교 담당관을 둬야 한다.
대한체육회장은 직함 그대로 한국 스포츠를 이끌고 대표하는 자리다. 올림픽에 관련된 일을 총괄하는 대한올림픽위원회(KOC)의 당연직 위원장이기도 하다. 각 종목의 협회·연맹 등 53개의 가맹 또는 준가맹 단체를 거느리는 막강한 자리다. 집행하는 예산도 막대하다. 올해엔 805억9천 600만원이 책정돼 있다.
역대 대한체육회장은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 사람이 낙점 형식으로 맡았던 자리였는데 중도 사퇴한 김준용 전 회장의 후임인 이연택 제34대 회장 때부터 선거로 뽑기 시작했다.
체육회장 선거 기간에 이 전 회장의 검찰 내사가 불거져 오히려 당선자가 곤혹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무튼 체육계의 화합 단결은 김정길 회장의 가장 큰 책임이기도 하다.
올림픽 남북단일팀 구성을 비롯해 체육청 신설, 체육부 예산 증액 등은 김 회장의 추진력을 테스트 받는 사업이다.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방북하는 일에 정부의 특별 배려가 있어야 한다.
/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