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15회째를 맞는 20세이하(U-20)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에서 한국이 거둔 최고 성적은 83년 멕시코대회 4위.
지역예선 탈락으로 77년 초대 대회의 부름을 받지 못한 한국은 2,3회 대회에서도 본선 조별리그 탈락의 쓴잔을 들이켰으나 네번째 도전에서 한국 축구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박종환 감독이 이끌던 한국 청소년대표팀은 83년 대회 조별리그 1차전에서 스코틀랜드에 0대2로 져 불안하게 출발했으나 멕시코와 호주를 모두 2대1로 연파하면서 8강에 올랐고, 남미의 강호 우루과이마저 신연호(2골)를 앞세워 2대1로 물리쳐 준결승 진출의 쾌거를 이뤘었다.
비록 최강 브라질에 1대2로 석패해 결승 진출은 좌절됐지만 ‘멕시코 4강신화’는 2002한일월드컵 4강 진출과 더불어 한국축구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기억되고 있다.
이후 3회 연속 아시아 지역예선 탈락의 쓴잔을 들이켰던 한국이 다시 본선무대에 고개를 내민 것은 91년 포르투갈대회.
남북 단일팀을 구성해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출전한 이 대회에서 한국은 조인철(북한)의 결승골로 아르헨티나를 1대0으로 꺾으며 8강까지 올랐으나 브라질에 1대5로 대패해 아쉬움을 삼켰다.
93년 호주대회에서는 잉글랜드, 터키, 미국과 모두 비겨 3무를 기록했으나 조별리그를 통과하지 못했고, 95년 대회에는 지역예선 탈락으로 본선무대를 밟지도 못했다.
이어 97년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11회 대회에서 한국은 브라질에 3대10으로 참패하는 치욕을 맛보기도 했다.
앞서 열린 프랑스와의 경기에서도 티에리 앙리와 다비드 트레제게에게 각각 2골씩 내줘 2대4로 패했던 한국은 1무2패로 조별리그 탈락을 면치 못했다.
99년 나이지리아대회에서도 한국은 포르투갈, 우루과이에 발목을 잡혀 16강 진출에 실패했고 2001년에는 아예 지역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한국은 박성화 현 청소년대표팀 감독의 지휘로 2003년 아랍에미리트연합(UAE)대회에서 16강에 올랐으나 일본에 1대2로 져 도전을 마무리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