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방경찰청 제2청이 고품격 치안서비스를 제공한다며 개청한지 벌써 3개월이 돼가고 있다. 경기북부지역의 급증하는 치안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개청했다지만 제2청의 지금까지 모습은 기형적이라 아니할 수 없다.
제2청장이 아닌 제4부장(경무관) 지휘 아래 생활안전·수사·경비교통 등 3과 7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런 초경량 조직이 경기북부지역 경찰서 10곳을 관리·감독하고 중요 사건을 수사한다는 것은 무리다. 정보·보안·감찰기능은 아예 없다. 감찰권한이 없는데 일선 경찰서를 관리한다는 건도 어불성설이다. 경무계가 있지만 주요 기능인 인사권이나 예산 편성권 등이 전혀 없는 절름발이 부서다.
제2청 직원들의 월급이나 관리한다고 하면 지나친 표현일까. 각종 물품 수령도 제2청에선 해결이 안된다. 일련 번호가 있는 교통스티커 등의 범칙금 청구서를 받기 위해, 교통사고 대장을 받기 위해 경기북부지역 경찰들은 수원으로 간다.
과학 수사를 위한 각종 장비를 보관해 둘 창고도 없다. 열거하기조차 숨가쁜 문제가 많지만 이중 민원실을 꼽지 않을 수 없다. 주민과의 쌍방향 통신을 위한 민·경 협력체계 구축을 주창하지만 정작 제2청 어디에도 민원실은 없다. 물론 제2청은 인력이 부족하고 예산이 없다는 변(辯)을 내세울 수 있다.
과연 그렇다면 제대로 된 치안서비스를 어떻게 펼칠지 되묻고 싶다. 경기북부지역 경찰들이 상급 기관인 제2청을 오히려 낮게 보는 이유가 너무 많다. 며칠 전 동두천에서 발생한 미군차량 사건도 제2청이 아닌 경기지방경찰청에 먼저 보고됐다. 체계가 잡히지 않았다. 개청 초기라서 그럴 수 있다고 이해하기에는 너무 심하다. 개청의 진짜 의미를 되짚어 봐야 한다.
/배 성 윤 기자 syba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