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투고/군포화물터미널 단식농성 유감

얼마전 산본 중심상가를 걷다가 군포복합화물터미널 확장사업을 반대하는 범시민대책위가 단식농성을 하는 것을 보았다. 하루씩 교대로 한다지만 찜통 천막안에서 물 몇 모금으로 하루를 버틴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국책사업에 대한 시민단체의 대책이라는 것이 소위 단식농성과 삭발식 등 형식적인 방법 밖에 없는지 씁쓸했다. 지금 군포시민의 가장 큰 근심은 낙후된 주거환경에 따른 주민 소외감과 중견기업의 타 지역 이전에 따른 지역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감이다.

최근 군포 모 신문에서 실시한 화물터미널 확장 여론조사에서 군포시민 응답자의 47%가 ‘상관없다’고 말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소외된 아파트 가격 등 낙후된 생활환경에 대한 지역주민의 불만이 화물터미널에만 집중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오히려 도내에서 가장 많이 공급되고 있는 임대주택이 더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인근 신도시와 비교해볼 때 군포에는 없는 것이 더 많으며, 그래서 생활환경이 더 나빠졌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범대위는 화물터미널 확장사업 반대만을 외칠 것이 아니라 시민편의시설 유치를 위한 대안 제시에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군포시민의 염원인 당동지역 전철역이나 백화점, 학원가 등은 물론이고 시민복지 공간 확보도 고려해 볼 시기이다. 중견기업들의 탈(脫) 군포에 따른 지역경제에 대한 위기감은 터미널 확장사업이 그 해법이 될 수가 있다.

시민단체는 지역경제 위기에 대해서는 입을 다물면서 세수, 소득, 고용효과가 단일사업장으로는 지역에서 가장 높은 터미널 확장은 무조건 반대하고 있다. 시민단체의 이런 모습은 지역경제에 대한 고민이 없는 것처럼 보여 아쉽다.

중앙도시계획위원회는 최근 면적을 축소하고 교통·환경대책을 수립한 건교부와 터미널측의 손을 들어주었다. 이는 범대위의 ‘반대를 위한 반대’가 시민들의 공감을 얻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신현범·군포시 대야미동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