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담도 의혹 사건

결국은 용두사미가 됐다. 검찰의 행담도 의혹 사건 수사가 그렇다. 사건관련의 청와대 3인방 중 정찬용 전 인사수석은 무혐의 처리됐다. 직권남용 의혹이 있지만 퇴직 후 행위여서 형사책임을 묻지 않는다는 무혐의 처분 사유는 설득력이 빈약하다. 문정인 전 동북아시대위원장과 정태인 전 국민경제비서관 등 두명만이 김재복 행담도개발 사장에게 자금 조달을 도운 혐의 내용으로 재판에 돌려졌으나 이도 불구속 기소다. 이 과정에서 대가성 있는 돈의 거래가 있었는 지 여부를 밝혀내지 못한 건 수사 미진이다.

더욱 알 수 없는 것은 도마뱀 꼬리 자르기다. 정찬용 전 인사수석이 직책과 관련없는 행담도 사건에 개입한 단초가, 노무현 대통령의 서해안 활성화대책 일환의 지시였던 것으로 안다. 서해안의 호남 출신이니까 직분에 관계없이 관심을 촉구했다는 것으로 들었다. 정찬용 전 인사수석은 그래서 노 대통령이 행담도 사업을 딱 집어 말한 건 아니지만, 서해안 개발사업의 시범사업 삼아 적극 간여한 게 맞다고 한다면 이상한 일이다. 그토록 위에서 관심 갖는 사업을 맡아 했는데, 보고를 했는지 안 했는 진 몰라도 대통령이 몰랐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중앙일간지 사장으로 귀가 어두운 이가 있었다. 그런데 자신에게 이로운 말은 짐작으로 용케 알아듣는 반면, 해로운 말은 짐작으로 알아들어도 모른 채 하기가 일쑤인 것으로 소문났다. 누가 달갑지 않은 얘길하면 “뭐?” “뭐라고?”하다가 “모르겠다 나중에 얘기하자!”며 잘라버리기가 예사였다. 기자에게 월급도 안 주었던 그 신문사는 신군부의 언론사 통폐합 때 없어졌다.

‘태산명동’에 어떻다니 행담도 의혹 사건이 그 모양이다. 당초 알려진 권력형 비리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결론이 났다. 한 사업자의 사기 농간에 공직자들이 이용 당했다는 게 검찰수사 결과의 요지다. 청와대가 어딘가, 그토록 허술한 곳인가, 청와대가 사기 당했다는 것도 듣기가 영 찜찜한 것은 웬 일일까.

/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