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의도덕(仁義道德)을 주장한 공자(孔子)가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숭상하는 노자(老子)를 찾아가 예(禮)에 대해 물었다. 이에 노자는 ‘양고심장’(良賈深藏)이라고 한마디로 답했다. ‘장사를 잘하는 상인은 좋은 물건을 밖에 진열하지 않고 깊이 간수한다’는 해석이 된다. 이 말을 풀면 지덕이 높은 사람은 겉으로 내세우지 않는다는 뜻이된다. 오만과 과욕을 경계하는 의미가 담겼다.
사마천이 쓴 ‘사기’(史記)에 전해진 고사다. 노(魯)나라 사람이던 공자를 윤리주의자라 하면 주(周)나라 사람이던 노자는 자연주의자로 비유할 수가 있다.
노자가 말한 ‘양고심장’이 약 2천500년이 지난 지금의 의미를 생각해보는 것은 흥미롭다. 직역한 대로 ‘좋은 물건을 깊이 감춰 두는 게 좋은 장수이다’라는 고전적 해석이 통하지 않는게 현대적 개념이다. 농경사회의 탐문거래에서나 있을 법한 일이다. 정보사회의 광고거래 시대에선 좋은 물건일수록이 밖으로 내놓는다.
그러나 ‘양고심장’을 의역한대로 ‘지덕이 높은 사람은 겉으로 내세우지 않는다’는 말은 2천50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도 맞는 말이다. 지덕은 인격체의 내면에서 뿜어져 나오는 것이지, 밖으로 드러내어 억지로 장식되는 것은 아니다.
과욕과 오만을 경계하는 경구의 의미 역시 틀림이 없다. 인격체의 내면이 아닌 밖에서 장식되는 지덕은 결국 과욕과 오만으로 흘러 예(禮)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인의(仁義)의 조화로 본 공자의 윤리관이나 예를 탐욕이 제거된 무아(無我)로 본 자연관이나 도달하는 관점은 달라도 실체를 보는 눈은 일치한다.
공자와 노자의 이런 선문답은 정치를 두고 나눴던 얘기다. 현세의 국내 권력자들을 보는 공자와 노자의 생각은 어떤 것일까를 생각해 본다. 잘은 몰라도 인의의 예도 없고 무아의 예도 없는 것 같다. 오직 탐욕과 오만만이 가득할 뿐이다.
좋은 물건을 감춰두기 보다는 가슴 속에 나쁜 물건을 감춰둔다. 진실보다는 과장을 일삼는 것이 권력자들이다. 우리는 지금 이런 사람들의 지배속에 살고 있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