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사회가 꽤나 시끄럽다. 부시 행정부는 미국 남부를 강타한 두 번에 걸친 허리케인 피해지역을 비상재해지역으로 선포했으나 여전히 궁지에 몰리고 있다. 피해 복구에 이라크 전쟁비용 수십억 달러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게되어 반전운동으로까지 번졌다. 이라크에서 미국의 젊은이들이 희생된 천명 가까운 전사자보다 허리케인 사망자가 또한 훨씬 더 많다. 외신은 지난 24일만 해도 백악관 주변에서 15만여 명이 운집한 반전 시위가 열린 것으로 전했다. 이라크 주둔 미군철수와 부시 탄핵을 요구하는 반전시위는 로스앤젤레스와 센프란시스코 시애틀 등지서도 열렸다. 이런가 하면 ‘미국의 자존심을 손상시키지 말라’며 부시를 옹위하는 맞불 시위도 열려 어수선하다.
허리케인 피해는 지구온난화 방지 협약인 교토의정서를 미국이 탈퇴한 자업자득이라는 비판도 강하게 일고 있다. 부시 행정부는 자국의 산업보호를 위해 수년 전에 교통의정서를 탈퇴한 바가 있다. 이로인해 지구상에서 가장 심한 환경오염을 일으키면서 무책임하다는 국제사회의 비난을 샀던 것이 이젠 자국내에서 불똥이 붙었다.허리케인의 이동 경로인 멕시코만 수온이 32도에 이르러 괴물화하는 연유가 지구의 온난화 현상에 기인한다면서 부시 행정부의 환경정책을 ABC 방송 등 언론에서 연일 질타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국민 지지도가 최하위로 떨어진 부시 미국 대통령은 두 번에 걸친 허리케인 강타로 곤두박질쳤다. 이런 가운데 반한 여론이 만만치 않다. 반미는 한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미국의 반한 세력 역시 만만치 않다. 한·미 관계의 전망이 밝은것만은 아니다.
국제사회에서도 부시는 오만한 패권주의자로 비친다. 패권주의는 미국만이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중국과 일본 역시 패권주의 경쟁을 벌여 동북아의 미래가 심상치 않다. 꽤나 골치 아프게 된 것이 사면초가(四面楚歌)인 부시의 입장이다. 이런데도 “대통령노릇 못해 먹겠다”는 소린 들리지 않는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