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 급증으로 200년 만에 평균수명 단축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제이 올섄스키 미국 일리노이대 교수 연구팀은 당뇨병 등 만성질환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경우, 20~30년 뒤에는 영국인의 평균 수명이 5년 이상 줄어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영국 보건 당국도 당뇨는 수명을 10년 이상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강조했다.
폴 지메트 세계보건기구(WHO) 당뇨병협력센터 소장은 “특히 미국 생활양식을 따르는 ‘아메리카화’ 등의 영향으로 아시아가 지구촌 건강 위기의 중심이 됐다”고 우려했다. 중국의 경우, 이런 상태가 방치되면 당뇨병 환자 수가 현재 3천500만명에서 2010년에는 약 8천만~1억명에 이를 것이라고 중국 ‘청년보’가 보도했다. 그런데 4분의 3 이상의 중국인들이 당뇨병에 걸렸는지도 모르고 지낸다고 한다.
국제당뇨연맹(IDF)이 추정하는 20세 이상 성인 당뇨병 환자는 2003년 현재 1억9천400만명이다. 지구촌 전체 성인 인구의 5%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1955년 5천500만명이었던 당뇨병 환자가 2배인 1억명으로 늘어나는 데는 40년이 걸렸지만, 1995년 1억명에서 2배로 늘어나는 데는 불과 10년이 채 안 걸렸다. 2025년에는 3억명을 훌쩍 넘을 전망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환자의 연령층이 갈수록 젊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미국 콜로라도대학 보건과학센터가 1978~2004년 세계 각국 110건의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새로 당뇨병 진단을 받은 어린이와 10대 청소년 가운데 제2형(성인) 당뇨병이 최고 45%에 이른다. 이 비율은 15년전 3% 미만이었다. 청소년 14명당 1명 꼴이다.
중·저소득 국가에서의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 남서태평양의 나우루에서는 성인 중 당뇨병 환자 비율(2003년 기준)이 30%에 이른다. 세계보건기구가 예측한 당뇨병 환자 증가율은 2025년까지 개발도상국이 170%로, 선진국(42%)의 4배를 웃돈다. 우리나라도 2004년 현재 400만명을 넘어섰고 2025년엔 68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고령화, 인스턴트 음식 섭취, 운동 부족, 비만이 당뇨병의 원인이라지만 이제 당뇨병은 정부차원의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게 됐다./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