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경부고속철도(KTX) 광명역사를 놓고 시끄러웠다. 현재 정차역을 축소하는가 하면 영등포역에 정차하겠다는 발언들이 이어지면서 부터다. 시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정부측 관계자 답변이 나오면서 지금은 잠잠하다.
그렇지만 광명역사의 축소 및 폐쇄 등은 물론 영등포역 정차 논란은 수면밑에 있을 뿐 언제든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경찰과 한국철도공사측이 역사 활성화와는 전혀 상관없이 지난해 열린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과 관련, 대테러를 명목으로 광명역사의 유일한 통행로인 인근 도로를 임시주차장으로 조성, 사용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때문에 차량 통행 방해는 물론 차량 파손까지 발생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나 관계기관들은 전혀 관심 밖의 일이라는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시청 간부 공무원들의 태도다. 불법 주·정차 차량들의 단속민원이 끊이질 않아도 “이곳은 건설교통부 부지이기 때문에 단속할 수 없다”거나 “관리권이 시로 오면 골치 아프기 때문에 지금이 편하다”는 한심한 답변들만 늘어놓고 있다.
임시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곳이 아무리 건교부 부지라고 해도 광명역사가 위치한 곳은 분명 광명이다. 광명역사가 남의 땅이라면 어떻게 광명역 정상화를 요구할 수 있겠는가?
/배종석기자 ba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