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제2청의 상하 분열

공기관이 관(官)으로서 면(面)을 세울 수 있는 건 정당한 권한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권한이 부족할 수록 존재 의미는 그만큼 약해진다.

문제의 시발점을 인식하고 있는데 극복의지가 없다면 있는 권한도 흐트러진다. 이런 경우는 아예 문제를 모르는 것보다 더 나쁘다. 변화와 혁신이 공직의 주된 테마로 자리잡고 있는 지금의 사회에선 더욱 그렇다.

경기도 제2청이 개청된 지 벌써 6년하고도 4개월이 넘었다. 여전히 일선 시·군 입장에선 옥상옥(屋上屋)으로 지탄의 대상이다.

인사와 예산 편성, 조직 운영 등 태생적 한계에 대한 해결책들도 없다. 개선 노력도 전혀 엿보이지 않는다. 주민들은 여전히 경기도청은 알아도 제2청은 모른다.

안다고 해도 여권 발급기관에 그칠 정도다. “떠날 생각만 하는 사람들이 웃긴다. 능력 있고 경험 있는 공무원들이 본청만큼 많지 않아 제2청이 잘 되지 않는다”는 어느 간부 공무원의 지적에 한 일선 공무원이 내뱉은 취중담이다.

“겪어본 간부 공무원치고 2~3개월을 넘어간 사람을 보지 못했다”고 토로하는 공무원도 있다. 간부 공무원의 초심이 강하다고 해도 제2청의 한계에 부딪쳐 수개월을 채 이기지 못했다는 의미다.

대부분이 경기북부지역 주민들인 하위직 공무원들과 언제든지 떠날 준비가 돼 있는 간부 공무원들의 간극이 갈수록 넓어지고 있다.

갈 사람과 남을 사람이 정해진 제2청은 들떠 있다. 누구도 제2청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메스를 대지 않았다. 마지막 공직을 조용히 보내기 위하거나 용기가 없었다는 설명으로 해석될뿐이다.

민선4기가 시작됐지만 변화의 조짐은 찾아볼 수 없다. 인수위 보고에서도 이같은 제2청의 문제점을 짚었다는 얘기는 듣지 못했다. 제2청 분열의 원인을 언제까지나 태생적 환경으로 돌린다는 건 분명 주민들에게 죄를 짓는 것이다.

/배성윤기자 syba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