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을 게 없던 옛날이라면 몰라도 요즘 왜 굳이 개까지 먹으려고 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영화 `세친구'와 `와이키키 브라더스'로 유명한 임순례(45ㆍ여) 감독은 중복(30일)을 앞둔 요즘 주위 사람들에게 보신탕을 먹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느라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민단체 `동물과 함께 하는 시민의 모임'(KARA)에 명예이사로 참여해 동물사랑 전도사로 나선 그에게 열흘에 한 번씩 복(伏)날이 찾아오는 한여름은 개 식용 반대운동을 펴기에 가장 좋은 때이기 때문이다.
임 감독의 극진한 개 사랑은 지인들 사이에 유명하다. 개에 대한 애정이 커지면서 개고기뿐 아니라 다른 고기류도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가 됐다.
유기견(遺棄犬ㆍ길거리에 버려진 개) 3마리를 키우고 있는 그는 몇 해 전엔 유기견 보호소에서 1년동안 자원봉사를 하기도 했다.
개 식용 반대에 대한 임 감독의 논리는 상당한 호소력을 있다는 것이 주위의 평이다.
이미 많은 영화계 후배들이 설득당했고 차기 작품의 몇몇 스태프도 `개고기를 끊겠다'고 선언했다.
복날에 개고기를 먹는 건 사치스러운 일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과잉영양의 시대에 생명을 앗아가면서까지 영양을 보충하려는 것은 분명히 잘못된 일이라는 것이다.
임 감독은 "여름을 나는 도구로 존엄한 생명체를 도살하는 것은 사치스러운 생각"이라며 "더위를 이 기려는 것이 잔인하게 생명을 앗아갈 이유가 될 수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개고기를 먹는 게 우리 고유의 관습이라는 주장에도 절대 동의하지 않는다.
임 감독은 "과거에는 개고기를 먹는 습관이 무더운 여름을 지혜롭게 나기 위한 고유의 식문화였지만 먹거리가 풍부한 지금 그런 관습을 이어갈 필요는 없다"며 "일부다처제나 노비제도가 그랬듯 관습이라고 해서 무조건 지킬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개 식용 반대 운동이 인간 중심적인 사고를 넘어 생명체를 중시하는 문화로 발전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밝혔다.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