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은 20일 “열린우리당이 주창하고 나선 뉴딜정책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인 담보가 이뤄지기 시작했다”며 “첫째도 서민경제, 둘째도 서민경제, 셋째도 서민경제로 세번째 역사적 기적(정권창출)을 이룩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이날 오후 2시 수원 보훈교육연구원에서 열린 ‘열린우리당 경기도당 핵심당원 연수회’에 참석, 축사를 통해 “사실 뉴딜정책 발표 초기에는 인사파동(김병준 교육부총리) 등으로 인해 청와대와의 의사소통이 잘 안됐다”며 “내년 경제가 불투명해 근래들어 대통령이 경기부양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대로 가면 역으로 정권교체를 당하는 만큼 따로 가고있는 민주평화세력의 대연합을 이뤄내야 한다”면서 “정기국회에서 국정감사와 예산을 처리한 이후에 그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라고 밝히며 연말 정계개편을 시사했다.
그는 또 전효숙 헌재소장 후보자 문제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문제 등을 둘러싼 한나라당의 반대에 대해 “한나라당이 막무가내식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특히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문제는 국내 정치사상 있을 수 없는 어리섞은 생떼를 쓰는 등 막가파식으로 나오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앞서 이목희 우리당 전략기획원장은 ‘이제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중도개혁주의의 정체성 확립 ▲서민과 중산층 위한 정책 수립 ▲당내와 당·정·청간의 조화 ▲국민을 대하는 화법 및 태도 쇄신 ▲현실적이고 과감한 전략수립 ▲중도개혁세력 대연합·통합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날 백원우 의원은 “오픈 프라이머리(Open Primary, 국민참여경선제) 도입을 통해 우리당에 대한 당심과 민심을 통일시키는 것은 물론 당 지도부와 거대 정파의 당 통제를 방지하고 국민적인 참여열기를 고조시켜 정권창출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날 참석한 일부 당원들은 ▲열린우리당의 정책 및 이미지와 맞지 않는 대표 선출 ▲역선택으로 인한 선거결과 왜곡 ▲경쟁당의 조작 ▲당원의 결속력 약화 등의 이유를 내세워 반대의견을 표출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김근태 열린우리당 당의장을 비롯해 김현미 열린우리당 경기도당 위원장, 원혜영·김진표·심재덕·이기우 등 도내 국회의원, 열린우리당 핵심당원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박수철기자 scp@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