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번역 수준이하, 국가가 나서야"

문화예술 분야 국내 번역이 수준 이하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적극적 지원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또다시 제기됐다.

문학나눔사업추진위원장을 맡고 있는 도정일 경희대 명예교수와 이윤택 전 국립극단 예술감독은 한국문학번역원과 국회문화정책포럼이 14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1층 소회의실에서 개최하는 '문화예술 번역, 획기적 개선을 위하여'라는 토론회에 앞서 배포한 발제문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먼저 도정일 명예교수는 '문화예술 번역의 의미'라는 발제문을 통해 "현 단계의 번역은 국력에 비해 수준 이하"라며 "번역문제는 시급한 공공정책 과제 중 하나로, 국가정책만이 수행할 수 있는 책임 영역으로 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 교수는 특히 ▲번역의 중요성에 대한 정책 당국의 개탄할만한 인식 결여 ▲유능한 인적 자원의 부족 ▲인적 자원을 길러내기 위한 정책과 투자의 빈곤 등을 근본문제로 지적했다.

이어 '공연예술 현장에서 본 번역문제'를 발표할 이윤택 전 예술감독도 "번역 수준 때문에 작품 수준이 평가절하돼버리는 악순환을 극복하기 위해 국가 혹은 공공적 차원의 조직과 운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전 감독은 그 방법으로 "희곡일 경우 번역될 외국어권의 연극학자, 배우, 무대예술가의 검증을 거쳐야 하는 것처럼 책의 성격에 따라 전문가 그룹의 협력작업이 필요하다"며 국가적 차원에서 번역자와 이런 협력작업자 등으로 두터운 번역그룹을 형성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번역이 교수나 학자의 부차적 일거리가 돼서는 안된다"며 "국가적 차원의 번역자는 그 자체로서 직업적 전문성을 지녀야 하고 그에 상응하는 대우와 직업적 보장이 뒤따라야 한다"라는 견해를 제시했다.

그는 "외국문학을 전공한 한국문학 번역자들이 한국문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라고 지적한뒤 더 많은 한국문학 전공자가 번역자로 일해야 하며, 개성 없는 희곡번역에서 벗어나기 위해 번역가가 단순한 언어의 전달자가 아닌 분명한 관점과 감성을 지닌 창조적 문필가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발표가 끝난뒤 유홍준 문화재청장, 문화연대 공동대표인 강내희 중앙대 영문과 교수, 영화감독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장인 김홍준 교수가 토론에 나선다.

/연합뉴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