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3집 앨범 발표 앞둔 노라 존스

"내게 바이올린을 선물한 이름 모를 한국의 팬에게 이 기회에 고맙다는 말을 꼭 전하고 싶다. 이른 시일 내에 한국을 다시 방문하고 싶다."

내년 1월 3집 앨범 `낫 투 레이트(Not Too Late)'를 내놓는 노라 존스는 18일(이하 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 시내 선셋마키스 호텔에서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새 앨범 작업 과정과 배우라는 새로운 영역에 도전, 마무리 단계에 있는 왕자웨이 감독의 영화 등에 관한 얘기를 진솔하게 풀어놓았다.

존스는 자신의 밴드인 `핸섬밴드'의 베이시스트이자 연인인 리 알렉산더와 함께 새 앨범을 제작했으며 13개에 이르는 신곡들을 직접 작사,작곡하거나 공동으로 제작하는 등 심혈을 기울였다.

텍사스 출신이어서인지 컨트리 음악에 태생적으로 끌린다는 존스는 성공으로부터 얻는 음악적, 경제적 자유로움이 좋다면서 "지난해 한국 공연은 멋진 경험이었고 좋았던 기억들만 남아있다"면서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한국 팬들이 부른다면 이른 시일 내에 방문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다음은 존스와의 일문일답.

-- 새 음반 프로듀서는 핸섬밴드의 베이시스트이자 연인인 리 알렉산더가 맡았다고 들었다. 그의 작업이 음악적인 면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나.

▲그와의 작업은 좋았다. 우리는 1999년부터 함께 호흡을 맞췄다. 오래됐다. 예전과 조금은 달라졌지 않겠는가. 하지만 그는 늘 나와 함께 해온 베이시스트였다. 이전까지 내 앨범에도 많은 영향을 줬다. 가족과 같은 분위기에서 만들었다.

-- 2집이 1집보다 컨트리 음악 성향이 짙었다는 평가였고 EMI를 통해 들어본 3집 음반에서는 1집으로의 회귀라는 느낌을 받았는데 이번 앨범에서 특별히 보여주려 한 것이 있었나.

▲특별히 무엇을 보여주겠다고 의도한 것은 없다. 작사,작곡을 하면서 매우 재미있었다. 앞에 만든 1,2집과는 다른 노래들이다. 2집 앨범은 제작 도중에 컨트리 음악을 많이 들으면서 했기에 그쪽으로 제작됐던 것 같다. 이번 앨범에서는 과거와는 조금 색다른 쪽으로 시도한 곡도 있다.

-- 지난 앨범들을 만든 프로듀서 아리프 말딘이 지난 여름 타계했다. 이 점이 음악이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사실 말딘은 절친한 친구같았다. 어쨌건 다른 방향으로 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달리 보면 알렉산더와 새롭게 일할 수 있는 기회가 만들어졌고 그래서 3집이 나왔다.

-- 2003년 그래미상 8관왕을 차지했다. 이런 성공들로부터 얻는 것들은 무엇인가.

▲자유로움이다. 무엇이건 하고자 하는 걸 할 수 있게 됐다. 음악적으로, 그리고 재정적으로 여유가 생겼고 그래서 자유로워졌다. 많은 기회가 생겼다. 세상 여러 곳을 방문하는 것도 즐겁다. 올해는 쉬었지만 작년에 아시아, 유럽, 호주 등 대략 40개 국가를 다닌 것 같다. 이런 자유가 좋다.

-- 그래미상 8관왕이라는 타이틀이 주는 위력으로 인기가 세계적으로 더 높아졌다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른바 '그래미 특수'를 누렸다는 평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모르겠다. 그래미상을 수상함으로 해서 이름이 알려지고 그래서 음악을 듣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하지만 그런 이유 때문에 팬이 생기는 지는 정말로 아는 바가 없다.

-- 지난 봄에는 컨트리 음악 앨범을 따로 내기도 했다. 컨트리 음악에 남다른 애착이 있는 건가.

▲텍사스 출신이지 않은가? 어머니는 오클라호마 출신이다. 컨트리뮤직, 재즈 등 아메리칸 포크 뮤직이 좋다. 태생적으로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 왕자웨이 감독의 영화 '마이 블루베리 나이츠(My Blueberry Nights)'에 주드 로, 나탈리 포트먼과 함께 출연한다고 들었다. 어떤 내용의 영화이며 현재 어느 정도 진척이 됐는가. 또 가수가 아닌 배우로 본격적으로 나선 소감은 어떤가.

▲로맨틱 코미디 영화다. 사랑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하는 한 젊은 여자가 미국을 여행하면서 여러 성격의 사람들을 만나는 내용인데, 그 주인공을 맡았다. 현재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고 마무리 단계다. 연기할 때는 기분이 참 묘하다. 전혀 다른 것이기에 무척 힘들었다. 하지만 재미있었다.

-- 노래뿐 아니라 연기 영역에서도 앞으로 커리어를 쌓겠다는 뜻인가.

▲모르겠다. 딱히 이렇게, 또는 저렇게 하겠다라고 말은 못하겠다. 다만 즐기면서 촬영했다. 상영 날짜도 모른다.

-- 작년 봄 한국에서 실시한 내한공연 때 한국과 한국 관객에 대한 인상은 어땠나. 앞으로 한국을 다시 방문한다면 언제쯤 될 것으로 생각하나.

▲즐거웠다. 선물 하나를 받았는데, 바이올린을 받았다. 내 이름을 손으로 새겨넣었는데 멋졌다. 미국으로 돌아와 확인한 까닭에 누구인지도 몰랐고 따라서 고맙다는 말도 전하지 못했다, 이 기회에 고맙다는 말을 꼭 전했으면 한다. 언제 다시 갈지 모른다. 꼭 다시 가고 싶다. 한국을 다시 방문할 수 있도록 팬들이 불러달라.(웃음)

/연합뉴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