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의 복지 증진을 위해 각 자치단체들마다 수익사업을 찾고 있는 현실과 동떨어진 광주시의 작태는 한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광주시는 지난해 공영개발방식의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건립하기 위해 2천여가구 물량의 하수물량을 받아 놓았다. 용역 결과 최소 4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발생하는, 광주시사 이래 가장 큰 사업으로 손꼽히고 있다.
그러나 감사원이 지난해 10월 광주지방공사를 감사하는 과정에서 ‘광주 지역은 자연보전권역으로 최대한 개발이 제한되는 특성지역인데 광주시가 나서는 건 환경 오염을 부추기는 행정기관으로 오해를 살만하다’는 내용을 담은 감사 결과를 내 놓았다.
결과적으로 민간사업은 괜찮고 관 주도사업은 안된다는 설득력 없는 조치다. 이에 대한 광주시의 태도는 “과연 이들이 시민들의 복지를 외치는 공복이냐”를 되묻게 하고 있다.
대감님(?)의 말에 순응이라도 하듯 일사천리로 돌아가던 사업계획서가 책상 속으로 사라져 사장될 날만 기다리는 꼴로 변해 버렸다.
재정상태가 열악해 국·도비 지원을 받기위해 온갖 수모(?)를 겪는 광주시가 상급 기관의 말 한마디에 제대로 대응하지도 못한 채 차려놓은 밥상을 스스로 차버리는 지금의 행태는 22만 시민의 삶의 질의 향상을 저하시키는데 앞장서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반문하고 싶다.
아무쪼록 광주시 최대 수익사업으로 일컫는 공동주택 공영개발사업이 공무원들의 적극적인 사고와 대처로 거듭나 무주택 서민들의 주택마련과 세수를 증대시키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길 기대해 본다.
/문민석 sugmm@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