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속으로…
7080세대들이 청년시절, 통기타를 들고 밤기차를 타고 장발을 휘날리며 바다로 향하던 밤을 보내고, 고고장에서 손가락을 하늘로 찔러대며 개다리 춤을 추던 시절. 그들의 흥을 돋워주던 노래들이 마음 속 깊이 남아 이제 당시 가수들이 출연하는 라이브 카페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비록 그 카페에서 마시는 커피 한잔이 1만원을 훌쩍 넘더라도, 카페촌 인근 호수가 밤새 차들로 북적이더라도 그들은 걱정없던 어린 시절로 돌아갈 수 있는 라이브 카페촌 문화를 포기할 순 없다. 카페촌 문화를 이어받아 서울과 인천을 거쳐 오는 23일 평택청소년문화센터에 그들을 위한 대형 콘서트가 찾아왔다.
‘내 사랑하는 그대여 정말 가려나/ 내 가슴속에 외로움 남겨둔채로/ 내 사랑하는 그대여 정말 가려나/내 가슴속에 서글픔 남겨둔 채로/ 떨어지는 저 꽃잎은 봄이면 피지만/ 내 사랑 그대 떠나면 언제 오려나/ 날아가는 저 철새도 봄이면 오지만/내 사랑 그대 떠나면 언제 오려나/ 그대로 그렇게 떠나간다면
난 정말 어찌하라고/ 그대로 그렇게 떠나간다면/ 난 정말 울어버릴걸/ 오 그대여 한마디만 해주고 떠나요/ 지금까지 나를 정말 사랑했다고/ 오 그대여 이 한마디 잊지 말아요/ 나는 오직 그대만을 사랑한다는 걸’
강변가요제, 신인가요제, 대학가요제 등이 한창이던 지난 78년 TBC 해변가요제로 데뷔한 이명훈과 휘버스의 ‘그대로 그렇게’는 지금도 노래방에서 불려지는 애창곡이다. 그들의 팬들이 만든 카페(http://cafe.daum.net/myunghoonsarang) 이름이기도 하다. 현재 2천300여명이 활동하고 있는 회원들은 소녀시절부터 중년이 된 지금까지 이명훈의 곁을 지켜주고 있다.
‘하얀 날개를 휘저으며 구름 사이로 떠오르네, 떠나가 버린 그 사람의 웃는 얼굴이…’
그들의 다른 히트곡 ‘가버린 친구에게 바침’은 연세대 레크레이션 동아리 RRC 회장이었던 故 최용석 회장을 추모하는 곡이다. 당시 불치병에 걸린 그를 위해 학교 내 모금운동도 있었지만 결국 퇴계원에 묻혔다. 그래서 이 노래의 본 제목은 ‘퇴계원’이었다. 지난 80년대 민주화운동 시절 추모곡으로 불려지기도 했다.
이날 공연에는 이명훈과 휘버스 이외에도 대학가요제 열풍을 일으킨 샌드페블즈, 송골매의 구창모, 듬직한 실력파 그룹 건아들, 잔잔한 멜로디로 서정적인 멋을 풍긴 장남들, ‘구름과 나’의 블랙테드라, 1982년 MBC대학가요제 동상 우순실 등이 출연한다. 문의(031)243-6616
/김효희기자 hhkim@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