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미관광특구사업 수정돼야”

김신호·이영철·박혜숙기자 phs@ekgib.com
기자페이지
근대건축물 복원 이대론 안된다/完  中 역사왜곡 대책시급

중국은 지난 2002년부터 동북지역 고구려·발해 역사를 왜곡해 온 동북공정을 지난달말 끝낸 것과 별개로, 지난해부터 부여와 고구려가 포함된 랴오허(遼河)문명을 중국사로 편입하려는 10단계 다민족통일국가론의 최종 단계인 ‘중화문명탐원공정’을 통해 역사왜곡을 시도하고 있다.

같은 시점에 인천시와 중구는 수백억원을 들여 월미관광특구에 관광인프라를 구축한다는 이유로 19세기말~20세기 초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에 대한 역사학자 연구나 안내표지 하나 없이 특구에 소재한 청나라 조계지에 관광용 차이나타운을 세우고, 일본거류지를 리모델링했다.

또 올해부터 영국해관장 존스톤과 독일상인 마이어, 미국인 알렌의 별장·직원사택 등의 복원을 추진중이다.

이에 대해 임학성 인하대 사학과 교수, 전진삼 배재대 교수 등 학계는 “시와 중구가 ‘근대건축물의 창조적 복원’, ‘개항기 근대건축물 주변지 정비’ 등의 그럴듯한 사업명칭을 내세워 역사학자를 배제한 채 주먹구구식으로 진행해 온 월미관광특구의 관광인프라 구축사업은 대폭 수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본보가 시의 이같은 역사문화 행정을 기획시리즈로 보도하자 시 문화관광체육국, 역사학계 등은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문제점과 대책 등을 제시했다.

김남윤 인천시 문화재 팀장은 “언론에서 지적한대로 도시국과 문화국 업무가 일부 혼선을 빚어 역사문화 전문가들의 참여가 부족했던 것은 사실”이라며 “앞으로 근대역사와 관련한 프로젝트에는 역사전문가들이 반드시 참여하도록 도시국과 업무협조를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엄두용 인천시 문화재 전문위원도 “월미관광특구는 현재 상당부분 진행중인 사업이므로 우선 월미도 조선시대 행궁을 비롯해 삼국시대부터 제물포와 월미도, 영종도 일대의 군사진지 등에 대한 종합적인 학술조사가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고종황제가 인천항 청일조계지 등 인천 전역에 축조한 화도진 산하 묘도북변포대(5혈), 묘도남변포대(5혈), 북성포대(3혈), 제물포 북변포대(8혈), 제물포 남변포대(5혈), 논현포대(2혈)와 연희진 중 현존하는 논현포대 외에 나머지 5개포대(26혈)의 복원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윤식 인천문인협회장은 “지난 1957년 세워진 ‘맥아더 동상’과 1982년 세워진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이 끌어들이는 미국인 관광객수는 연간 자유공원 방문객 80만여명(중구 통계) 중 0.05%인 400~500명에 불과하다”며 “2005년 인천에 세워진 러일전쟁 기념비는 연간 수십명의 관광객도 끌어들이지 못하는 게 현실이므로 이같은 복원사업이 외국 관광객을 끌어들이지도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신호·이영철·박혜숙기자 sh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