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 이천공장 증설문제로 경기도 민간단체들과 이천 시민들이 하이닉스 이천공장 증설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를 발족, 정부 부처들과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임기가 만료되는 우의제 하이닉스 대표이사 후임에 김종갑 전 산업자원부 차관이 내정돼 8일 열릴 이사회 승인만 남겨두고 있다.
공직자윤리법이라는 게 있다. 공직자들이 재임 당시 직무와 연관이 있는 민간 기업에 취업하는 것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는 법이다. 김 전 차관은 재임시 하이닉스 공장증설 문제에 개입한 인사이다.
아무리 공적자금이 투입된 기업이라도 엄연히 민간 기업이며 현재 대통령까지 언급할 정도의 예민한 사안을 안고 있는 기업에 전직 고위 정부 관료가 온다면 또 다시 ‘낙하산 인사’란 오명을 벗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가 재임시 하이닉스 이천공장 증설에 긍정 또는 부정적이었던가의 성향을 떠나 현재 이천공장 증설이 불가하다는 정부의 입장이 밝혀진 가운데 이에 관여했던 인사가 대표이사로 내정됐다는 것 자체가 하이닉스 이천공장 증설문제의 형평성을 잃게 하고 있다.
이같은 다양한 우려의 목소리들이 하이닉스 대표이사 선임에 번복을 기대하긴 어려운 게 현실이다. 낙하산 인사로 인해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이 약해지는 폐해를 국민들이 잘 알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 김 내정자에게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국가경제를 살리는 경영을 통해 이러한 우려들이 기우였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기업경영에 나설 것을 주문한다.
/김태철 kimtc@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