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가 무지개살 뻗치듯 망신살을 당했다. 지난 5월 경기도가 격년제로 실시한 종합감사에서 무려 89명이 문책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중 경징계 이상은 12명에 이른다.
나머지 77명은 ‘각별히 조심하라’는 훈계를 받았다고 하지만 무책임 무원칙 행정으로 갈 뻔한 사안이었다는 점에서 그냥 지나칠 일은 아니다.
담당 공무원이 어설픈 기안을 하거나 사업비를 정확히 계량하지 않아 발생하는 금전적 손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돌아가기 마련이다.
특정 사업의 첫 단추를 잘못 꿰 연루된 여러 공무원들이 문책을 당한데는 억울한(?) 측면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그래서 상하 공무원이 눈을 부릅 뜨고 사인하라고 층층시하 조직을 둔 것이다. 마땅히 문책을 피할 수 없는 이유다.
지난해말 경기도가 특정 사안에 대해 3개월 동안 실시한 특별조사에서는 자그마치 여섯명이 문책을 당했다.
해당 부서 공무원들은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다는 동정도 일지만 이 역시 행정의 부당성을 지적받았다는 점에서 자의적이고 섣부른 판단으로 말미암아 생긴 자업자득이다.
공무원들은 이번 사건이 도하 언론에 보도됐다고 해서 위축이 돼선 안된다. 오히려 이번 일을 계기로 군포에 드리워진 암운의 살(煞)을 하나 둘씩 제거하는 호기로 삼아야 한다.
특히 깨뜨리는 우를 피하기 위해 민원을 돌리거나 처박아 두고 나몰라라 하는 식의 ‘복지부동(伏地不動:땅에 엎드러 움직이지 않는다)’은 더욱 경계해야 함은 새삼 말할 나위없다.
시민들의 심부름꾼에 다름 아니라는 겸양의 마음으로 더욱 더 공복(公僕)의 의미를 되새겨 꿋꿋이 일에 임해야 한다.
그것이 금정동 청백리(淸白吏)길 22 군포시청사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의 자화상이다.
/이정탁 jt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