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치(coach)는 15세기 때 헝가리 소도시의 이름이다. 마차를 잘 만드는 고장으로 이름났다. 안락하고 화려한 이 지방의 마차는 전 유럽의 왕실과 귀족들 사이에 인기를 끌어 아예 코치란 말이 마차의 대명사가 됐다.
마차 만드는 기술이 늘면서 말 두 마리까지 끌었던 것이 네 마리, 나중에는 여섯 마리까지 끄는 마차가 나왔다. 여섯 마리의 말이 당시로는 초 스피드로 질주하는 마차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말을 잘 다루는 마부의 전문적 기술이 있어야 했다. 이래서 또 마차를 모는 사람을 코치라고 부르게 됐다.
지금은 코치를 스포츠 지도자의 대명사로 부르는데 국내에서는 으레 감독이라고 한다. 이도 일제 잔재다. ‘간도꾸’(監督·감독)는 원래 일본의 스포츠문화다. 올림픽을 비롯한 각종 국제경기에 소개되는 스포츠팀 명단에 ‘디렉터’(director·감독)란 말은 없다. ‘헤드 코치’(head coach)라고 한다. 헤드 코치(감독)밑에 코치가 있다. director(감독)는 영화 연출가의 지칭이다.
스포츠팀을 이끄는 코치 및 헤드 코치의 어원이 여러 말이 이끄는 마차의 마부에서 유래된 점은 흥미롭다. 스포츠 게임 역시 달리는 마차와 같다. 말도 좋아야 하지만 말을 다루는 마부의 기량이 또한 뛰어나야 한다. 팀은 좋아도 지도자가 시원찮은 게임은 졸전이 된다. 유능한 조리사는 재료가 좀 안 좋아도 음식을 맛있게 만들고, 무능한 조리사는 좋은 재료를 가지고도 음식을 맛없게 만드는 것과 비유된다. 스포츠 지도자의 역량을 연금술이라고 하는 연유가 이에 있다.
축구국가대표팀 베어벡 감독(헤드 코치)이 사퇴를 표명했다. 지난 28일 밤에 일본팀과 가진 아시안컵 3·4위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6-5로 가까스로 이기긴 했지만 경기 내용은 열세로 몰렸다. 일본팀이 골을 넣지 못한 것은 운이 없었다 할 만큼 숱한 위기를 겪었다. 우리 대표팀은 전술도, 세트 플레이도, 투지도 빈곤하여 무작정 차는 동네축구 같았다. 개인기가 모자란 것은 당장 해결할 수 없지만, 대표팀 구성이나 전술개발, 정신무장 등은 다시 가다듬을 수가 있다.
문제는 베이징 올림픽이다. 지구촌의 축구 수준은 어느 나라 할 것 없이 날로 발전한다. 한국 축구는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를 잊고 새로 시작해야 한다. 헤드 코치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는 대한축구협회가 책임지고 판단할 일이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