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네틱 국악그룹'옌(YEN)" 오늘 수원 삼호아트센터 공연
“낯익은 선율들이 저렇게도 표현될 수 있구나.” 옛날부터 구전으로 내려오는 우리 민족의 음악 민요. 노동요, 사랑가로 삶의 애환을 달래면서 함께 즐기며 감정을 공유해온 생활의 일부였던 민요가 어느 순간 옛날에 멈춰져 버렸다. 최근에 캐논과 비보이, 국악으로 듣는 사계 등등 새롭고 다양한 국악의 모습이 보여지고 있지만 옛날 민요처럼 공감할 수 있는 국악의 모습은 아니다. 국악이 이제 소통을 이야기하려고 한다.
키네틱국악그룹 옌(YEN)은 25일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삼호아트센터에서 전통 민요와 성악을 모티브로 현대적인 민요를 구현하는 국악공연 ‘하루애’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의 타이틀 ‘하루애’는 무수히 많고 많은 그렇고 그런 날들 중의 하루, 무수히 많은 그렇고 그런 사람들의 하루, 그런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하루 중에서 특별한 하루를 발견하는 ‘하루愛’이다.
도시 속의 우리, 전혀 가공되지 않은 우리의 일상을 이미지 콘서트로 그리면서 급변하는 경쟁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잠재된 불안을 국악으로 소통시킨다. 또한 사회 속의 불안과 민요를 대변하는 노래, 관객과 소통하고 싶은 옌의 바람을 담아 국악의 선율로 노래한다.
특히 힙합을 차용한 놀이곡 형태의 창작곡 ‘딜레마’는 힙합의 비트 안에서 판소리 춘향가 중 쑥대머리 선율이 즉흥의 형태로 덧붙여지고 영남의 사물놀이 가락을 따 악기로 연주된다.
이번 공연은 ‘불안은 소통을 노래한다’란 부제로 프롤로그, 불안한 일상, 화려한 외출, Melancholy, 즐거운 회귀, 오늘의 노래 등 6개의 장면으로 구성돼 9곡이 연주된다.
프롤로그에서 선보일 ‘창’(Window·양승환 작곡)은 경기도 민요인 매화타령 후렴을 모티브로 차용해 경기도 민요 특유의 유유함을 도시적으로 표현했고, 불안한 일상의 곡 ‘도시, 어느 저녁’(김현보 작곡)은 제주도 노동요 ‘가래가는 소리’를 모티브로 현대의 노동요 느낌을 준다. 화려한 외출의 곡 ‘딜레마’(작곡 옌)는 판소리 쑥대머리 대목을 주 선율로 힙합 패턴으로 구성했으며, ‘N.O.N.G’(송안지 작곡)은 펑키리듬 패턴에 판소리의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성격을 살려 현대를 이야기 하고 있다. Melancholy에서 연주할 가야금 독주곡 ‘여우비’(송안지 작곡)는 경기민요 창부타령을 모티브로 솔로곡의 외소함을 탈피, 풍성함을 전해주며 전통 민요의 매기고 받는 형식을 살린 옌의 노래극 ‘얼음무지개(송안지 작곡)는 현대인의 외로운 정서를 담고 있다.
/이종현기자 major01@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