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2학기 모집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
올해 대부분의 대학들이 수시 1학기 모집을 실시하지 않았다. 수시 1학기와 2학기를 연습 삼아 지원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시모집을 노리는 전략은 이제 통하지 않는다. 학생들은 수시 2학기 모집을 현실적으로 고민하고 수시 2학기와 정시 모두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수시 2학기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철저한 자기 분석만이 합격의 지름길!
학생들은 우선 자기의 학력수준을 파악해야 한다. 올해 수시 2학기 전형은 크게 내신 중심 전형, 특기 중심 전형, 논술 중심 전형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모의고사 점수와 학생부 성적 등을 중심으로 자기에게 가장 적합한 전형 유형이 무엇인지 찾아 그 대학에 지원해야 한다. 단, 막연한 자기 분석은 안 된다. 학교 내에서 자신의 위치가 아닌 전국에서 자신의 위치가 어떻게 되는지를 파악해야 내신 중심 전형에 써야 할지, 논술 중심 전형에 써야 할지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다다익선, 많은 대학을 노리자
지원할 대학 선정은 정시보다 수시모집에서 더 중요하다. 대학을 선정할 때에는 대학을 그룹으로 나누어 자기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자기 위치보다 높은 그룹에 속한 대학은 가급적 많이 지원하고, 현재 자기 위치보다 낮은 대학도 일부 지원하도록 한다. 또한 학과를 선정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같은 그룹에서 절반은 소신지원, 나머지 반은 그보다 낮춰서 지원하는 전략을 짜는 게 좋다. 수시 때는 정시보다 학과별 격차가 크다. 또 모집인원이 한자리 숫자인 학과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지원대학과 학과를 선정할 때 꼭 유념해야 할 점은 2학기 수시에서 1개 대학이라도 합격하면 등록 여부에 관계없이 정시나 추가모집에 지원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꼭 다니고 싶은 곳에 지원해야 한다.
▲최저학력기준 적용 여부를 파악할 것
수시 2학기 모집에서 대부분의 주요대학들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학생들은 모든 관문을 통과하더라도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통과하지 못하면 최종 합격의 길에서 멀어진다. 작년의 경우 조건부 합격자의 30% 내외가 최저학력기준에 미치지 못해 탈락했다. 학생들은 자신의 모의고사 성적을 냉철히 판단하여 자신이 지원하는 대학의 최저학력기준 충족에 자신이 없다면 최저학력기준이 없는 대학들도 검토해 보는 것이 좋다. 또한 수능 성적의 변화가 심한 학생은 수능일 이후에 전형이 이뤄지는 대학에 지원해 실제 수능 성적에 따라 결정하는 것도 방법이다.
▲합격의 열쇠는 논술이다
수시 2학기 모집의 당락을 좌우하는 것은 바로 논술이다. 올해 논술을 보는 대학은 작년보다 늘어 인문계 24곳, 자연계 11곳에서 실시한다. 논술의 반영 비중도 큰데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한양대 등은 논술을 50% 이상 반영한다. 우선 선발의 경우 학생부 20%, 논술 80%이다. 또한 대학마다 인문계는 언어와 사회를 중심으로, 자연계는 수학, 과학을 중심으로 한 통합교과형으로 출제될 예정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여러 대학에 복수 지원을 하더라도 논술 준비를 따로 더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험유형이 정시모집 논술과도 비슷하기 때문에 수시 대비 논술 준비는 더불어 정시 대비도 될 수 있다. 또 많은 학생들이 수능우선선발의 여파로 논술 준비를 작년보다 덜 하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준비하면 합격률을 높일 가능성도 크다./제윤아 유레카 상임연구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