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교육청을 비롯, 각급 학교들이 각종 공사를 위한 입찰공고를 실시하면서 지역 업체들을 홀대하고 있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이는 지역 업체들을 살리겠다며, 정부가 지난해 9월20일 개정한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일반공사의 경우 2억원 이하, 전문공사는 1억원 이하 등 소액 수의계약시 지역 업체들로 견적제출을 제한할 수 있다는 규정을 철저하게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다보니 지역 업체들의 경영난은 심해지고 살아남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으나 그마저 쉽지 않다며 한숨짓는 지역 업체들이 늘어 나고 있다.
“법률의 강제 규정은 없지만 다른 곳들은 지역 업체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들을 강구해 돕고 있는 반면 광명교육청은 담 너머 불구경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정을 알고 지역 업체들을 살리기위해 적극 나서고 있는 광명시와도 대조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 대해 광명교육청 관계자는 오히려 “광명시는 광명시이고, 광명교육청은 광명교육청”이라고 반문한다.
참으로 한심한 논리가 아닐 수 없다. 수억원, 아니 수십억원 규모의 공사도 아니고 겨우 수천만원에 불과한 소액 공사마저도 지역 업체들을 철저하게 외면한다면 과연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살아남을 지역 업체들이 있을까?.
지역 업체 관계자들은 말한다. “불법이나 편법을 동원하라는 게 아니고 정당한 방법으로 지역 업체들 좀 먹고 살게 도와달라는 것 아닙니까?”
그동안 광명교육청은 광명시를 비롯, 광명경찰서, 광명소방서 등과는 달리 변방 기관으로 인식돼 왔다.
이번 기회를 통해 지역에 관심을 가져주길 지역 업체들은 바라고 있다. / bae@kgib.co.kr
배종석 <제2사회부 광명>제2사회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