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피부색… 다른 문화 소통의 窓을 두드리다

■ 오늘 한세대서 ‘다문화 미디어콘텐츠’ 학술회

현재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이미 100만명을 넘어선 지 오래다. 이들은 전체 인구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들의 고정관념인 민족주의와 순혈주의 사이에서 설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내 거주 외국인들의 문화를 인정하고 우리 문화와 융합할 수 있도록 서로 노력해야 하고 갈수록 늘어나는 이들에 대한 지원과 함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작업이 절실하다. 이를 유도하는 것은 아마도 미디어가 매개체가 돼야 하지 않을까.

한세대와 ㈔한국방송비평가회는 21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한세대 대학원관 1층 세미나실에서 ‘다문화 미디어 콘텐츠의 현황과 전개’란 주제로 다문화와 한국사회, 다문화미디어콘텐츠 제작, 지역사회와 다문화 콘텐츠, 문화적 다양성과 미디어 콘텐츠 등 4개 분야로 나눠 학계, 언론계, 정부기관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문화의 차이를 넘어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사회를 위해 미디어가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지 논의한다.

이경숙 한국디지털대 언론영상학과 교수는 ‘다문화와 한국사회’ 제하의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 사회가 다민족·다인종 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은 무엇인지, 외국인 이주자들을 대하는 한국사회의 시선에 대해 살펴보고 김세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박사는 ‘다문화미디어콘텐츠 제작’을 주제로 외국인 노동자와 국제결혼 가정 증가에 따른 다문화적 상황과 이러한 환경에 정책적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논의한다.

최유진 동국대 문화콘텐츠 R&D센터 연구원은 ‘지역사회와 다문화 콘텐츠’란 주제로 방송체제가 현 사회의 특성을 수반한 다문화, 다원적인 규례들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살펴보고 다문화 미디어 콘텐츠 제작의 지향점과 경로, 방법 등을 탐색한다. 홍숙영 한세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는 ‘문화적 다양성과 미디어 콘텐츠’를 주제로 다문화로 변화하는 사회의 현상을 지역언론이 어떻게 그려내고 어떤 프로그램을 제안하는지와 지역사회에서 다문화 미디어 콘텐츠를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홍숙영 교수(한세대 미디어특성화사업단장)는 “외국인들에 대한 장기적 정책 부재로 외국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실질적인 지원보다 단발성, 일회성 이벤트식 행사가 주를 이루고 있다”며 “다문화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각 문화가 어우러지는 환경을 만들고 정책을 제안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이종현기자 major01@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